지키자 ! 대한민국!
박근헤 대 친이 6룡 본문
정권 재창출을 위해선 경쟁이 필수다. 가능한 후보들을 모두 용광로 속에 넣어 강하게 키워야 한다.”
여권의 ‘친 이계’ 핵심 인사가 최근 밝힌 한나라당의 정권 재창출 시나리오다. 2012년 대선에서 한나라당의 재집권 가능성을 높이려면 ‘박근혜 전 대표의 독주체제’보다는 ‘엎치락뒤치락하는 경쟁구조’가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야권과 한나라당의 상황을 대비시켰다. 야권엔 특출한 주자는 없지만, 차기를 꿈꾸는 자원들은 넘쳐난다. 당 대표를 지낸 정세균·손학규·정동영씨 외에 신진 도지사 그룹(김두관 경남지사, 이광재 강원지사, 안희정 충남지사),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까지 군웅할거(群雄割據)하고 있는 양상이다.
반면 한나라당에선 박 전 대표의 독주체제가 공고하다. 이명박 대통령의 오랜 측근인 이 관계자는 “이 대통령도 정권 재창출을 위해선 한나라당 내부 경쟁이 더 치열해져야 한다는 생각을 오래전부터 해 왔다”며 “이 대통령은 이런 생각에서 정운찬 총리를 임명했고, 지난달 청와대 개편과 8·8 개각도 그런 맥락에서 이뤄졌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이 사람을 쓰는 방식은 집권 3년을 거치면서 변화를 보였다. 한승수 초대 총리나 류우익 초대 대통령실장, 그리고 후임인 정정길 전 대통령실장은 정치적 색채가 없는 인물이었다. ‘개성’보다는 ‘조화’가, ‘정치’보다는 ‘일’이 강조된 인사였다. 하지만 지난해 9월 정 총리를 기용할 때부터는 인사의 의도가 달라졌다. 이 대통령은 여야를 넘나들며 잠재적 대권후보로 거론돼 온 정 총리를 ‘중도실용주의 총리’로 발탁했다. 이 대통령은 2007년 대선 전 사석에서 “정운찬씨와는 가까워질 기회가 별로 없었다”고 했다. 그런 이 대통령이었지만 정 총리가 차기 대선 주자로 일단 테스트할 만한 카드라는 판단이 서자 거침없이 정 총리를 기용했다는 게 몇몇 측근들의 설명이다.
이 대통령은 6월 지방선거 직후 ‘세대교체론’을 화두로 던지고 나서 한 달 간격으로 54세의 대통령실장과 48세의 총리를 파격적으로 발탁했다. 그로 인해 ‘합리적인 3선 정책통’(임태희), ‘정치적 야망이 있는 지방행정가’(김태호)라는 평을 듣던 두 사람은 하루아침에 여권 차기 주자급으로 위상이 올라갔다. 이 대통령은 이재오 의원에게도 ‘MB의 측근 이재오’가 아니라 이 의원 스스로 정치적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공간(특임장관)을 열어줬다.
친이계는 “박 전 대표에 대항할 수 있는 사람들의 폭이 커졌다”며 반기고 있다. 김문수 경기지사와 김태호 총리 후보자, 임태희 대통령실장, 이재오 특임장관 후보자, 정몽준 전 대표 외에 친이계 색채가 상대적으로 엷은 오세훈 서울시장까지 포함해 이른바 ‘친이계 6룡’이 생겨났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청와대 관계자들은 이런 분석을 부담스러워하고 있다. 박 전 대표 측을 의식하기 때문이다. 한 고위 관계자는 “차기 대선과 관련해 당의 경쟁력이 높아졌으면 하는 게 이 대통령의 희망”이라며 “박 전 대표를 배제하려 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이 대통령이 김태호 총리 후보자나 이재오 특임장관 후보자, 임태희 실장 등에게 클 수 있는 기회를 준 셈이나 결실은 어디까지나 스스로의 노력을 통해 얻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승욱 기자 [sswook@joongang.co.kr]
'시사-논평-성명서-칼럼.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집스런 독재가 망하는 이유 (0) | 2010.08.16 |
---|---|
김태호,대통령 재목으로 손색없다. (0) | 2010.08.15 |
박근혜의원의 여당 흔들기에 국민들은 지쳤다. (0) | 2010.08.06 |
중도표방은 보수우익단체를 배신하는것 (0) | 2010.08.05 |
명동성당 김계춘신부의 바른말 한마디 (0) | 2010.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