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지키자 ! 대한민국!

신현수 거취문제 오늘 결단 전망! 본문

시사-논평-성명서-칼럼.기사

신현수 거취문제 오늘 결단 전망!

새벽이슬1 2021. 2. 22. 09:34


신현수 거취 문제에

정치권 촉각…"박범계의 '우리 편' 되나 제2의 윤석열 되나"

신현수, 사의 표명 고수냐 복귀냐…오는 22일 거취 결단 전망
두 번째 윤석열


▲ 신현수 청와대 민정수석.ⓒ뉴시스


박범계 법무부 장관과의 '인사 갈등'으로 사의를 표명한 신현수 청와대 민정수석의 거취 문제와 관련해 정치권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신 수석은 지난 18일부터 휴가를 내고 '숙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으며, 청와대는 신 수석이 법무부 검찰인사위원회가 열리는 오는 22일 복귀해 입장을 밝힐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신현수, 박범계의 '우리 편' 되나 제2의 윤석열 되나"

배준영 국민의힘 대변인은 21일 구두논평을 통해 "신 수석이 22일(내일) 복귀하면 박 장관이 언급한 이른바 '우리 편'이 되는 것인가, 아니면 이 정권의 두 번째 윤석열이 되는 것인가"라며 신 수석의 거취 문제를 거론했다.

배 대변인은 "당장 내일 검찰 중간간부 인사를 다루는 검찰인사위원회 결과를 보면, 대통령께서 이른바 '우리 편'에 속해 있는지 여부가 확인될 것"이라며 "홍위병 검사들을 어디로 보내는지 보면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배 대변인은 "청와대의 한 비서의 출근 여부가 왜 국가적 이슈가 되어야 하나"라며 "대통령이 윤석열 총장과 신현수 수석을 중용한 이유는 모두 그들의 바른말과 상식 떄문이라고 보여진다. 그런데 바로 그것 때문에 신 수석이 물러날 처지"라고 개탄했다.

앞서 신 수석은 박 장관이 지난 7일 검찰 고위급 인사안을 발표한 데 대해 충분한 조율이 없었다며 반발, 사의를 표명하고 지난 18일부터 휴가를 떠났다.

"박범계 '왜 우리편에 안 서나' 편가르기에…신현수 충격"

신 수석은 휴가 중 지인들에게 보낸 문자 메시지를 통해 "이미 저는 동력을 상실했다. 박 장관과는 평생 만나지 않을 것이다. 법무부와 검찰의 안정적 협력관계는 시작도 못해보고 깨졌다" 등 입장을 밝힌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한 중앙일보는 전날(20일) 한 여권 관계자가 "인사 협의 과정에서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 등의 거취 문제에 대한 이견이 발생하자 박 장관이 '왜 우리편에 서지 않느냐'는 취지로 신 수석을 몰아세웠고, 이같은 편가르기식 발언에 신 수석이 충격을 받은 것으로 안다"고 한 발언을 보도한 바 있다.

여권은 신 수석의 사의 철회를 설득하고 있는 분위기다. 정만호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같은 날 출입기자들에게 보낸 공지를 통해 "아직 결정되지 않은 검찰 후속 인사까지 확정된 것처럼 추측 보도가 나온다"며 추측성 보도 자제를 당부했다.

이는 신 수석을 설득하는 상황에서 각종 보도나 관측이 또 다른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청와대의 우려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지난 1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신 수석 설득을 위해) 소수의 고위급 소통이 진행되고 있다. 빨리 해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손혜정 기자 2021-02-21 14:13]

*************************
野 "文 대통령, '선거용 위로지원금' 고백하라"

"국민 위로 지원금 검토 가능" 文에… 野 "국민 혈세로 돌려주면서 위로금 명명하냐"
선거만 다가오면 매표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9일 청와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와의 간담회에서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주먹 인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국민의힘이 '전국민 코로나 위로 지원금'을 거론한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차라리 '선거용 위로금'이라는 것을 고백하라"고 저격했다.

배준영 국민의힘 대변인은 21일 논평에서 "확진자 급증으로 3차 (코로나-19) 유행 재확산 우려마저 커졌다"면서 "이 와중에 대통령께서 벌써 '코로나에서 벗어날 상황'을 상상하며 위로금부터 꺼내는 게 정상인가, 그냥 (오는 4·7 재보궐을 위한) 선거용 위로금이라고 고백하시라"라고 강력 비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9일 청와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지도부 등과의 간담회에서 "코로나에서 벗어날 상황이 되면 국민 위로 지원금, 국민 사기 진작용 지원금 지급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실상 전국민 지원금을 거론한 것이다.

野 "국민 혈세로 돌려주면서 '위로금' 명명"

이와 관련, 배준영 대변인은 "국민의 혈세를 돌려준다면서, 시혜를 베풀 듯 위로금이라고 명명하는 것도 위선을 넘는 죄악"이라며 "위대한 국민을 원시 유권자로 보나"라고 지적했다.

또 "코로나-19가 시작된지 1년이 넘었고, (정부가) 집단면역을 형성하겠다는 올 11월까지도 코로나는 일상"이라며 "계획적인 국민지원예산계획을 수립하고 집행할 수 있는 기간인데 아직도 '1차 긴급' '2차 긴급' '3차 긴급' '4차 긴급'이(라고 한)다"라고 부연했다. "곗돈 받아서 운영하는 계주(契主)만도 못하다"고도 비꼬았다.

배 대변인은 그러면서 코로나로 인해 매출 타격을 입은 소상공인·자영업자 등을 위한 정확하고 온전한 손실보상대책부터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그는 "정부의 오락가락 정책으로 피해 입은 국민의 손실을 소급해 보상하라, 헌법을 지켜라"라면서 "필요할 때는 외면하고 있다가 선거만 다가오면 매표하나"라고 꼬집었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코로나 지원금을 위해 1차 추가경정예산안(추경) 11조7000억원, 2차 추경 12조2000억원, 3차 추경 35조1000억원, 4차 7조8000억원 등, 총 66조8000억원을 편성했다.[김현지 기자 2021-02-21 11:0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