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키자 ! 대한민국!
유니세프 창립 75주년 줌 인터뷰-박명윤칼럼 본문
박명윤 칼럼> UNICEF 창립 75주년, Zoom 인터뷰
올해는 국제연합아동기금(UNICEF,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이 창립 75주년을 맞는 해이다. 뜻 깊은 해를 맞아 유니세프 서울사무소에서 ‘75주년 영상’을 제작하고 있으며, 어제(2월 10일) 오후 3시부터 줌으로 인터뷰를 했다. 원래 유니세프 직원이 필자의 집을 방문하여 인터뷰를 할 기획이었으나, 코로나19 사태가 심각하여 스마트폰 줌(unicef.zoom.us)을 통하여 비대면으로 약 45분간 진행했다.
필자는 지난 1965년 1월 국제연합 공무원(official of the United Nations)으로 임용되어 UN아동기금(UNICEF)에서 1989년 12월까지 25년간 근무했다. 인터뷰 내용은 필자가 근무한 당시의 UNICEF 지원사업을 소개하면서 필자의 활동도 언급했다.
필자가 담당한 보건사업(Health Project)은 보건사회부와 함께, 그리고 영양사업(Applied Nutrition Project, ANP)은 농촌진흥청과 협력하여 집행했다. 당시 보건사업은 모자보건(MCH), 결핵(TB), 그리고 나병(Leprosy) 관리 분야에 집중적으로 지원했다. 특히 전국 농촌지역에서 실시한 ANP 사업은 FAO(세계식량농업기구)를 통해 세계 여러 나라에 소개된 성공 사례이다.
당시 대한민국 정부는 UNICEF 지원사업에 대한 ‘정부 분담금’을 유니세프 본부에 지급했다. 이에 매년 외무부에서 예산을 책정할 때마다 분담금 인상을 요청하기 위하여 외무부 국제연합과(당시 반기문 UN과장)를 방문한 이야기도 했다. 정부에서는 매년 UNICEF 분담금을 인상해 주었다.
필자가 25세부터 50세까지 근무한 유니세프는 필자의 인생에 큰 영향을 끼쳤다. 유니세프에 근무하면서 서울대학교에서 보건영양학(Public Health Nutrition)을 전공하여 보건학석사(MPH)와 보건학박사(Dr.PH)학위를 취득했다. 또한 필자의 첫 해외여행도 UNICEF 본부(뉴욕)의 지시로 1973년 1월부터 약 2개월 동안 인도네시아 UNICEF Jakarta Office에 파견되어 Administrative and Finance Officer로 근무했다.
UNICEF는 필자의 7살 생일날(1946년 12월 11일)에 창립되었으며, 필자가 UNICEF에 근무를 시작한 1965년에 노벨 평화상(Nobel Peace Prize)을 수상했다. 올해 81세인 필자가 UNICEF 창립 75주년을 기념하여 진행된 인터뷰에서 지난 1960-80년대 기억을 가다듬어 이야기할 기회가 있어서 아주 좋았다. UNICEF 당국에 깊이 감사한다.
<사진> (1)스마트폰 줌 인터뷰, (2)UNICEF Seoul Office 직원 7명 중 최연소 25세 청년 박명윤(뒷줄 왼쪽 끝), (3)UNICEF 대표 Mr. Alan E. McBain(영국인) 초대, (4)인도네시아 UNICEF Jakarta Office 직원 40명, (5)서울대 보건학박사학위 취득(1983.2.26).
글/ 靑松 朴明潤 (서울대 保健學博士會 고문), Facebook, 11 February 2021.
靑松 건강칼럼 (785)... 國産 말린 대추 vs 中國産 냉동대추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대추 이야기
대추(棗)는 설, 추석 등 명절 차례상과 조상님 제사를 모실 때 빠짐없이 올라가는 상차림 중 하나다. 또한 대추는 수천년 동안 한방(韓方)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노화(老化)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신비로운 생약(生藥) 또는 식품으로 취급되어 왔다. ‘대추를 보고 안 먹으면 늙는다.’는 말이 있다. 필자는 ‘대추차’를 즐겨 마신다.
대추(red date, jujube)는 그 색이 붉다 하여 홍조(紅棗)라고 부르기도 하며, 찬 이슬을 맞고 건조한 것이라야 양질의 대추가 된다. 과육(果肉)에는 당분이 많이 들어 있으며, 점액질ㆍ능금산ㆍ주석산 등도 들어 있다. 한방에서는 이뇨(利尿)ㆍ강장(强壯)ㆍ완화제(緩和劑)의 약재로 널리 쓰인다. 대추씨는 거칠게 빻아 볶으면 차로 마실 수 있다.
대추는 관혼상제(冠婚喪祭) 때의 음식마련에는 필수적이다. 제상이나 잔칫상에 대추를 그대로 놓거나 조란ㆍ대추초 등의 과정류(菓飣類)로 만들어 놓는다. 또한 대추는 떡이나 음식의 고명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대추는 열매가 많이 열리므로 많은 자손을 상징하여 혼인식 날 새 며느리의 첫 절을 받을 때 시어머니는 폐백상(幣帛床)에서 대추를 집어 며느리의 치마폭에 던져주는 풍속이 있다.
설 차례상은 술과 떡국, 과일을 기본으로 하며, 지역마다 올라가는 음식의 종류와 방식에 다소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홍동백서(紅東白西), 조율이시(棗栗梨枾), 어동육서(魚東肉西), 두동미서(頭東尾西), 좌포우혜(左脯右醯) 등에 따른다. 차례상은 일반적으로 음식을 5열로 차린다. 5열에는 대추, 밤, 배, 감, 사과, 한과(韓菓) 등이 올라간다.
‘조율이시(棗栗梨枾)’란 제사상에 놓는 과일의 기본 4가지(대추ㆍ밤ㆍ배ㆍ감)를 말한다. 대추(棗)는 씨가 하나이므로 임금(王)을, 밤(栗)은 한 송이에 3톨이 들어있으므로 영의정ㆍ좌의정ㆍ우의정의 3정승(政丞)을, 배(梨)는 씨가 6개 있어서 6조판서(六曹判書, 이조ㆍ호조ㆍ예조ㆍ병조ㆍ형조ㆍ공조 판서)를, 감(枾)은 씨가 8개 있으므로 조선 8도(朝鮮八道) 관찰사(觀察使)를 각각 상징한다는 속설(俗說)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중국산 냉동대추와의 전쟁이 시작되었다. 낮은 관세로 수입된 중국산 냉동(冷凍)대추가 국내에서 해동(解凍)과 건조과정을 거친 뒤 건(乾)대추로 대량 유통되고 있다. ‘냉동대추’ 수입이 가속화하면 국내 고추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준 제2의 ‘냉동고추’ 사태가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관세청(關稅廳)에 따르면 중국산 냉동대추는 2018년 20.4t, 2019년 63.4t, 그리고 2020년에는 무려 653.1t이나 수입됐다.
중국산 냉동대추 수입이 급증한 주요인은 韓ㆍ中자유무역협정(FTA) 협정세율이 현저히 낮아졌기 때문이다. 신선대추와 건대추엔 611.5% 또는 1kg당 5800원의 고율 관세가 부과되지만, 냉동대추는 관세가 30%에 불과하다. 이에 지난해 중국산 신선한 생(生)대추 수입량은 0.1t에 불과했다. 또한 예전에는 중국산 냉동대추를 해동해 건조하면 상품성이 떨어져 국내에서 외면을 받았는데, 요즘은 냉동대추의 품질이 좋아 건조해도 상품성이 충분하다고 한다.
신선농산물 건조기술이 향상된 국내에서 건조된 중국산 냉동대추는 서울 경동시장, 중부시장, 가락시장, 온라인 쇼핑몰 등을 통해 중국산 건(乾)대추로 국산 건대추의 절반 값에도 못 미치는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다. 우리나라 건조기술의 향상으로 냉동대추는 건조 이후에도 맛과 당도(糖度) 등이 좋고 국산 대추와 외형적 차이가 거의 없어 소비자들이 오인하기 십상이라고 한다.
더 큰 문제는 국내에서 건조된 중국산 냉동대추가 외관상 국산 건대추와 거의 구별이 되지 않아 원산지(原産地)가 한국산으로 둔갑될 수 있다는 점이다. 중국산 대추는 브랜드도 없는 10kg들이 포장상자에 담겨 유통되는 데다 상자 옆면에 부착된 원산지표시 스티커만 제거하면 전문가도 중국산 냉동대추와 국산 대추를 육안(肉眼)으로 구분하기 쉽지 않다. 이에 중국산 냉동대추가 국내에서 건조돼 유통된다는 사실을 일반 소비자들이 제대로 인식해야 한다.
기본세율 30%가 적용되는 중국산 냉동대추의 수입 가격은 관세와 운송비를 포함해 10kg당 2만원 정도이지만, 냉동대추를 말린 중국산 건대추 가격은 10kg 기준 6만-7만원이므로 수입업체가 폭리를 취하고 있다. 한편 국산 대추는 특품(特品)이 16만-18만원이며, 지난해 긴 장마와 일조량 부족, 태풍 피해 등으로 국내 대추 생산량이 전년보다 20% 이상 급감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대추 생산량은 2019년 대비 23% 감소한 7200t으로 잦은 비와 태풍 등의 여파로 2006년 이후 14년 만에 최저 생산량을 기록했다. 대추 생산량은 2014년 1만423t을 정점으로 지속 하락해 최근엔 1만t 안팎에 불과하다. 대추 생산면적도 1997년 6393ha에서 2015년 2745ha로, 생산 농가도 2010년 7278가구에서 2019년 6587가구로 줄었다.
중국산 냉동대추는 2002-2007년에도 상당량이 수입됐으나 국내에서 상품성을 인정받지 못했고, 이후 10년 가까이 수입이 거의 없었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국내에서 건조된 중국산 냉동대추가 국내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으며 수입업자들이 수입량을 크게 늘리는 추세이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냉동고추’의 교훈을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삼지 않고 ‘냉동대추’에 대한 韓ㆍ中 FTA 협상을 소홀히 했다고 비판한다.
대추는 주로 제수(祭需)용과 약제(藥劑) 및 건강식품(健康食品)용으로 소비되므로 추가적인 수요 요인이 없는 가운데 수입물량이 급증하면 국산과 중국산의 가격 경쟁을 피할 수 없게 된다. 가격 경쟁의 피해는 고스란히 국내 농가의 몫이 되므로 관계당국은 다각적인 수급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대추 주산지(主産地)는 경북의 경산, 군위, 청도와 충북의 보은 등이다.
이번 중국산 ‘냉동대추’ 사태는 16년 전 ‘냉동고추’ 사태와 판박이다. 냉동고추도 냉동대추와 마찬가지로 국내에서 건조ㆍ유통돼 사회문제가 됐다. 2005년 중국산 냉동고추 사태 때도 관세청의 통관지침 마련에 큰 역할을 농협(農協)고추전국협의회가 했다. 협의회는 중국산 냉동고추의 불법유통 감시, 신고센터 운영, 대국민 호소문, 관세청에 건의문 전달 등을 통하여 ‘품목분류 기준’에 내동고추를 포함시켰다.
현재 대추는 전국 단위의 생산자단체나 협회 등이 없다. 이는 대추농가는 다른 작목과 달리 그동안 특별한 위기의식 없이 흘러온 경향이 있어 농가들이 뭉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이번 중국산 냉동대추 위기상황에서는 농가들의 단합된 힘이 세상을 바꾸는 힘이 될 수 있으므로 대추농가들이 전국 협의체를 구성해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
가을이면 울긋불긋한 단풍과 잘 익은 각종 열매들이 우리의 오감(五感)을 즐겁게 한다. 대추나무는 갈매나무과(Rhamn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喬木)이며, 원산지는 유럽 남부 또는 아시아 서부라고 한다. 한국ㆍ중국ㆍ일본ㆍ남유럽 등에 분포되어 있다. 나무 높이는 5m가량이며, 잎은 달걀 모양이며 6월에 황록색의 꽃이 피며 꽃 하나에 반드시 열매가 맺힌다. 구형 또는 타원형의 열매는 9월에 적색으로 익는데 단단한 씨가 들어 있다.
대추나무 줄기에는 가시가 있고 한 마디에 2-3개의 작은 가지가 다발로 나는데 “대추나무에 연 걸리듯 한다”는 말이 그래서 생겨난 듯하다. “대추씨 같다”는 말은 키는 작으나 성격이 야무지고 단단하여 빈틈없는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로 쓰인다. 대추는 붉은색으로 임금의 용포(龍袍)를 상징하며, 씨가 한 개 들어있어 임금(王)을 상징하기도 한다.
대추는 열매를 수확하는 가을의 짧은 시기에는 생과(生果)로 아삭아삭한 식감을 맛볼 수 있지만, 대개 말린 대추를 식품과 한약재로 두루 활용한다. 말린 건(乾)대추는 저장성이 좋으며, 건조 과정에서 영양소가 더욱 풍부해진다. 대추씨는 거칠게 빻아 볶으면 커피와 비슷한 향미를 내어 차로 마실 수 있다. 한약에서는 대추를 완화ㆍ강장제로 사용한다. 잘 익은 대추를 쪄서 말렸다가 달여 먹으면 몸의 열을 내리고, 기침도 멎게 한다.
건(乾)대추(Jujube, dried) 가식부 100g(per 100g edible portion)에 함유되어 있는 일반 영양소는 다음과 같다. 에너지 289kcal/ 수분 17.2g/ 단백질 5.0g/ 지질 2.0g/ 회분 2.1g/ 탄수화물 73.7g/ 섬유소 2.7g/ 칼슘 18mg/ 인 116mg/ 철 1.8mg/ 나트륨 8mg/ 칼륨 952mg/ 비타민A 1RE/ 비타민B1 0.13mg/ 비타민B2 0.06mg/ 나이아신 1.1mg/ 비타민C 8mg.
중국은 기원전부터 대추나무를 재배한 기록이 있으며, 서기 1세기 초에 나온 본경(本經)에는 대추의 약용(藥用)에 관한 기록이 있다. 우리나라는 과목(果木)의 하나로 권장한 기록이 있다. 고려 명종 18년(1188년)에 대추나무 재식(栽植, planting)을 권장한 기록이 있다. 목적은 대추를 약으로 또는 식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대추나무 목재는 치밀하여 인쇄용 판재(板材)로 쓰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
옛 문헌인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는 “대추는 심복(心腹)의 사기(邪氣)를 다스리고 속을 평안하게 하며, 비기(裨氣)를 기르고 위기(胃氣)를 평화하며 허약을 보하고 백약(百藥)을 화(和)한다.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명의별록(名醫別錄)에는 “대추는 속을 보하고 기운을 늘리며 의지를 굳게 하고 힘을 강하며 번민을 없앤다. 오래 먹으면 주리지 않으며 신선(神仙)하다.”고 했다.
대추는 비타민, 폴리페놀, 아미노산, 유기산, 지방산, 스테롤, 알칼로이드, 사포닌, 세로토닌, 폴라보노이드 등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약리작용도 다양하며, 풍부한 폴리페놀(polyphenol)을 함유해 항산화 효과도 우수하다. 또한 간(肝)보호작용, 항알레르기작용, 근수축력 증강작용을 하며, 빈혈증, 결핵, 기관지염, 신경쇠약, 조직손상 치료 등에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대추 발효물이 미백과 주름살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논문도 있다.
대추를 달여 먹으면 부부(夫婦) 화합이 되는 묘약(妙藥)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즉, 가을에서 겨울에 이르면 공기가 건조하게 되어 목이 마르기 쉽고, 감기에도 잘 걸리고 기침도 나기 쉽다. 그런 때에 달인 대추즙을 마시면 목을 잘 적셔주고 천식, 빈혈, 입술 트는 것 등에 유효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靑松 朴明潤(서울대학교 保健學博士會 고문, 대한보건협회 자문위원, The AsiaNㆍ시사주간 논설위원, The Jesus Times 논설고문) <청송건강칼럼(785) 2021.2.18>
'시사-논평-성명서-칼럼.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현수 거취문제 오늘 결단 전망! (0) | 2021.02.22 |
---|---|
간첩이 대통령인 나라의 운명은? (0) | 2021.02.21 |
공수처 첫 수사대상은 '살인자"여야 한다. (0) | 2021.02.19 |
불법에 너무 무감각.... 너무 그러지 마라, 권력도 잠시다. (0) | 2021.02.19 |
부패와 변명의 표본실 -황희 편 (0) | 2021.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