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지키자 ! 대한민국!

줄줄이 퇴자 맞은 봉하마을 조문객들 본문

시사-논평-성명서-칼럼.기사

줄줄이 퇴자 맞은 봉하마을 조문객들

새벽이슬1 2009. 5. 26. 11:48

* 본 음원은 Daum 배경음악 플레이어를 설치하셔야 들으실 수 있습니다.

 

 

  봉하마을 분향소에 걸려있는 고 노무현 전대통령의 유서

 

줄줄이 퇴자 맞은 봉하마을 조문객들

MB'조화훼손' 昌'달걀세례' DY'문전박대'

 

2009년 5월 23일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파란만장한 생을 마감한 비극의 날이다. 국민들은 그의 죽음에 대해 안타깝고 비통한 심정으로 조의를 표하고 있다.

 

그가 남긴 유서는 전직 대통령으로서의 대인다운 면모를 보여주어 국민들을 충격과 동시에 감동을 주었고, 그동안 그분의 괴로웠던 심정도 조금은 이해할 것 같았다. 

 

“나로 말미암아 여러 사람이 받은 고통이 너무 크다.”

“火葬해라” “집 가까운 곳에 아주 작은 비석 하나만 남겨라.

“누구도 원망하지마라. 운명이다.” 등 권력의 정상을 누렸던 고인으로선 하기 힘든 결단이며, 평소 그분의 평민다운 숭고한 모습을 보는 것 같아 애도와 함께 존경스럽게 생각되었다.

 

그러나 故人의 죽음을 영원히 ‘숭고한 죽음’으로 만들 것이냐 아니면 헛되고 비난받는 죽음으로 만들 것이냐의 문제는 남은 자들, 특히 유족과 지지자, 그리고 언론과 정치인들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유서에는 “남을 원망하지 말라.”고 했으나 벌서 원망과 갈등의 그림자가 나타나고 있다.

 

‘검찰이 너무 무리하게 수사했기 때문이다.’ ‘일 년 동안 그렇게 들춰내면 누가 견딜 수 있겠느냐“ ‘온가족을’ 등 선동적 표현을 쓰고 있다. 그리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빈소를 방문한 ‘거물급 정치인’들을 잇달아 퇴짜를 당하는 수모를 보여주고 있다.

 

한승수 국무총리는 수행원들과 함께 23일 오후 10시경 버스를 타고 임시분향소가 있는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 조문을 하기 위해 들어섰을 때, 노사모 회원들을 비롯, 주민들이 일제히 물러가라며 진입을 막아, 경찰들의 숙소가 있는 건물에서 10여 분간 머무르다 되돌아갔다고 한다.

 

정동영 의원 부부도 한 총리와 비슷한 시각에 봉하 마을을 방문했으나 주민들의 완강한 반대로 결국 조문도 못해보고 되돌아가는 해프닝을 겪었다고 한다.

 

이명박 대통령은 오후 6시 55분 경 봉하마을 임시분향소에 조화를 보냈으나 옮기는 와중에 발로 짓밟아 결국엔 분향소에 세우지 못했으나 다시 보내달라는 유족들의 전달이 있었다고 한다.

 

이회창 자유선진당 총재도 오후 7시30분 미니버스를 타고 봉하마을로 들어오던 중, 마을 입구에서 주민들이 계란과 물병 등을 던지며 막아서자 어쩔 수 없이 차를 되돌려 돌아간 것으로 알려졌다.

 

김형오 국회의장을 봉하마을 주민들과 노사모 회원들이 조문을 거부하면서 전.현직 한나라당 국회의원의 방문은 절대로 있을 수 없다면서 봉하마을로 진입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였다.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는 동료 국회의원들과 함께 24일 오후 봉하마을을 방문할 예정이었으나 충돌로 불상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소식에 박 전 대표 일행은 결국 오후 4시 50분쯤 봉하마을 진입로인 공단 삼거리에서 차를 돌린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 친노 인사로 유명한 영화배우 명계남(57)은 자살한 노무현 전 대통령 장례식이 국민장으로 치러지는 데 대해 "국민이 죽여 놓고 무슨 국민장을 하느냐"며 만약

"국민장을 하면 가만 안 놔두겠다."고 격분하면서 "노 전 대통령을 탄핵했던 192명의 문상이나 화환을 절대 받아줄 수 없다"고 하면서  "조,중,동(조선, 중앙, 동아일보) 기자들이 들어오면 가만 안 두겠다"고 벼르고 있다고 한다.

 

만약 이것들이 사실이라면 이는 고인의 유지를 훼손하는 일이며, 갈등과 분열로 인해  6월 정국은 소용돌이 속으로 뻐져들 것같아 심히 걱정스럽다.  

 

--------------------------------------------------------------------------

친박연대 "검찰총장, 비극 책임지고 사퇴하라"

 

친박연대가 24일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와 관련, 정당 중에서는 처음으로 임채진 검찰총장의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전지명 친박연대 대변인은 이 날 당 긴급 최고위원회의 개최 결과를 브리핑하며 "노무현 전 대통령이 자살 서거에 이르도록 만든 임채진 검찰총장은 국가적 비극인 이번 사태에 대해 책임을 지고 즉각 사퇴해야 한다"며 회의 결과를 전했다.

 

전 대변인은 "검찰은 전직 대통령에 대한 최소한의 예우적인 차원에서의 방문조사 조차도 무시한 채, 처음부터 검찰청으로 소환하여 강도 높은 조사를 벌였다"며 "더구나 참여정부 때 임명받은 임 검찰총장이 무엇 때문에 노 전 대통령에 대한 무리한 수사를 강행하였는지, 도저히 상식적으로 납득이 되지 않는 일"이라고 임 청장을 질타했다.

 

그는 이어 "다시는 무리한 검찰수사가 재발되지 않도록 국회차원에서 진상조사단을 구성해야 한다"며 국회 차원의 진상조사를 요구하기도 했다.

 

한편 민주당은 노 전 대통령의 장례 기간 동안에는 고인과 유족의 명예를 위해 정치 일정과 정치적 언급을 삼간다는 입장이나 노 전 대통령의 영결식후 6월 임시국회에서 검찰 등 이명박 정권에 대한 본격적인 책임을 묻겠다는 입장이어서 향후 거센 후폭풍을 예고하고 있다.

 

6월은 잔인한 달인가! 작년 촛불시위가 다시 재현될 조짐이 보이고 있어서 매우 걱정스럽다. 6월항쟁의 그림자가 보인다. 좌파들의 광란에 철저히 대비해야 할 것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