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키자 ! 대한민국!
잔인한 촛불시위 유모차 여자. 본문
촛불시위에 유모차까지 나섰단다. 웬 여자가 유모차를 밀고 나와 "유모차라도 앞세워 경찰의 폭력적 진압을 막아보려는 것이다. 설마 저들이 아기들마저 짓밟겠느냐"라고 말했다고 한다.
중국대지진에서 한 엄마가 아기를 덮고 시멘트 부숴져 내리는 것을 온 몸으로 막아 대신 죽고 아기는 살렸다는 보도가 나온지 엊그제인데, 한국은 그와 반대로 아기를 지진 전면에 배치한 엄마가 나왔다.
한다는 말이, 아기가 앞장섰으니, 지진이 부숴져 내리지 않을 것이라는 발상이다. 지진이 부숴져 올 자기 머리 위에 아기를 올려놓은 형국이다.
차라리 네 몸으로 범퍼를 둘러라. 여자야, 라고 말하고 싶다. 여자의 毒하기가 이 정도이면 에덴의 하와는 저리 가라 일 것이다. 특히 한국 여자의 독함이란, 박근혜에게도 질려 있는데 이번에는 유모차 여자의 독악함이다.
솔로몬왕에게 두 아기 엄마가 찾아왔다. 말하기를 두 엄마가 동시에 아기를 각기 출산했는데 미련한 어느 엄마가 자기 아기를 잠결에 깔아죽이고 다른 엄마의 아기를 제 것이라 말하였다.
그것을 두고 솔로몬은 진짜를 찾을 수 없으니 아기를 반 갈라 각자에게 반씩 주어라. 라고 말했다. 진짜는 가슴이 녹고 가짜는 '흥, 반이라도 좋다. 잘라 내놔라.' 하였다.
진짜 엄마는 지진이 부숴져 내리거나, 시위대가 격해지면 거기서 행여라도 제 아기가 깔리울까, 밝히울까, 그것을 상상만 하여도 가슴이 녹아내리는 법이다.
그럼에도 아기를 시위대 전면에 세웠다니, -- 시위를 보호키 위해 -- 가짜 엄마이거나 어디서 아기를 돈을 주고 빌어왔거나 하지 않으면 할 수 없는 짓거리다.
인간은 무엇을 위한 도구나 수단이 될 수 없다. 인간을 시위대 진압저지의 용구로 쓴다는 것은 공산분자의 발상이 아니고는 나오기 힘들다. 게다가 아기라니, 아기야말로 더더욱 무엇보다 보호받아야 할 가녀린 존재다.
아기를 시위 전면에 내세웠다는 이 사실 하나만으로도 촛불시위대는 강경진압되어야 한다. 유모차를 앞세움으로써 저 자들은 그들이 이번 시위를 대통령 끌어내리기 위한 악독한 의도로 벌이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아기를 시위대 보호장구로 쓰고 있는 촛불시위대 잔인한 여자들, 악독한 엄마들의 손아귀로부터 아기를 꺼내와 보호해야 할 의무가 대한민국 정부에게는 있다. 아기는 用具[용구]가 아니다. 지금 대한민국이 딱 그 아기 신세다. 이 대통령은 강권을 발동해야 한다. 어디서 돈을 주고 빌려온 아기는 아닌지도 조사해야 할 것이다. 친엄마라면 그럴 수 없으니까.
2008.6.1. 파아란 한은경.
본 필자의 글은 누구의 영향이나 압력도 사절하였으며
본인의 글은 이전에도 정직하였고 이후로도 정직하리란 것을 약속드립니다.
후원계좌: 국민은행: 831401-01-150608 한은경
연락처: 016-280-5643 / paaranhansu@hanmail.net
파아란홈카페 http://cafe.daum.net/paaranhome
파아란홈블로그 http://blog.chosun.com/hansu0001
광우병검사하는 미국소, 광우병검사도 안받는 한국소
- 광우병검사하는 미국소가 더 안전하다.
광우병 항목 자체가 없다니.========================
조금 찾아보았더니, 놀랍게도 한국은 소의 질병에 있어 광우병 이란 항목 자체가 없다.
이러니 한국은 광우병이 없고 미국은 광우병 덩어리 라는 어이없는 헛소리가 나오는 것이라 하겠다.
파아란.
이하 참조 =============================
소의 기립불능증 | |||||||||||||||||||||||||||||
![]() |
기관 : xxxxxxxxxx | ||||||||||||||||||||||||||||
![]() |
성명 : xxxxxxxxxx | ||||||||||||||||||||||||||||
![]() |
전화 : xxxxxxxxxx | ||||||||||||||||||||||||||||
대부분의 동물에서 모든 질병의 말기에는 허탈상태가 되어 체온의 급강하, 맥박수의 급증과 더불어 기립불능으로 되며 소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수의사들이 흔하게 경험하는 일상적인 현상이다. 넓은 의미에서의 소의 기립불능증은 원인이 무엇이 되었든 간에 기립불능 상태로 된 모든 것에 적용되는 말이며, 대체적으로 분만을 전후하여 많이 발생하고 있다. 좁은 의미에서의 기립불능증은 일반적으로 분만을 전후해서 일어나는 기립불능증 중 칼슘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회복되지 않는 것에 한정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학자들간에 다소의 이견이 있는 상황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기립불능의 원인은 송아지와 성우에 있어 다소간의 차이가 있다. 송아지에서는 신생 송아지의 허약증, 출생 중의 뇌손상, 신생 송아지의 패혈증, 각종 전염병의 선천성(자궁내) 감염, 태변정체, 배꼽의 질병, 비타민 A 결핍증, 셀레니움(Selenium: Se) 및 비타민 E 결핍증(백근병, 근이영양증), 콜린 결핍증, 저마그네슘 혈증성 테타니, 구루병, 헤모필루스 감염증, 콕시듐증의 신경형, 산발성 송아지 백혈병, 회백뇌연화증, 산발성 소 뇌척수염, 기타 선천성 이상에 의한 기립불능(유전성기형, 태아의 영양결핍, 태아중독, 태감염) 등이 있다. 분만전후의 성우에서는 유열, 저마그네슘 혈증성 테타니, 난산성 마비, 허혈성 근변성 괴사, 근·골·관절의 물리적 손상, 분만 후 독혈증, 태막수종(태수과다증), 산욕성 제엽염 등이 가장 일반적인 기립불능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기타의 원인으로 감염성 질병에는 소유행열, 이바라기병, 기종저, 악성수종, 파상풍, 보툴리즘, 렙토스피라병, 바베시아병이 있으며, 중독성 질병에는 청산중독, 아질산염 중독, 수산염 중독, 요소중독, 소금중독, 농약중독, 독성식물 중독, 각종 곰팡이 독소 중독 등이 있다. 기타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급성 탄수화물 과식증, 마비성근색소 뇨증, 수송테타니, 임신중독증, 산후 혈색소 뇨증, 우유 알레르기, 쇠가죽 파리 구더기 감염증, 유방염, 기타 뇌척수의 손상 또는 관절의 질병 등이 문제 시 된다. 2000년 8~9월 중 문제가 된 기립불능우는 전국 6개도(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경북), 44개 시·군, 307농가의 596두(한우 58, 젖소 538)에서 발생하였다. 총 596두 중 105두는 치료 후 회복되었고 413두는 도태, 78두는 폐사하였으며, 기립불능 증상을 나타낸 개체들은 대체로 체질이 허약하거나 착유량이 많은 젖소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2000년 7월 28일 최초 발생 이후 습하고 무더운 날씨가 계속된 8월 하순까지 집중적으로 발생하였으나 9월 19일 이후 발생이 중단되었으며, 발생초기 치료 시 회복되었고 주위의 다른 소로 전염되지 않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초기 치료를 하지 않은 경우 2차 적인 감염(고창증, 유방염 등)으로 인해 도축장으로 출하 도태되었다. 기립불능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역학조사반(2개반, 10명)을 구성하여 조사한 결과 고온다습한 기후, 열악한 사양 환경에 따른 스트레스와 비타민과 미량 광물질 등 영양불균형, 기립불능 증상을 나타낼 수 있는 질병의 감염 및 대사성 장애 등에 의한 신경이상 증세로 판단되었다. 기립불능우 115두에 대한 정밀 실험실 검사(유사증상 전염병과 감별진단) 결과 유행열(3건)과 바이러스성설사(1건)외 모두 음성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국내에서 구제역 발생으로 인하여 소 사육농가의 자율적인 예방접종이나 소독 등 차단방역 등의 관리에 무관심, 질병 발생 시 예방약의 부족현상의 대두 등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 |||||||||||||||||||||||||||||
1. 소의 연령에 따른 기립불능증 발생 질병 | |||||||||||||||||||||||||||||
가. 신생우에 주로 나타나는 질병 비타민 A 결핍증, 백혈병(신생~6개월) 나. 어린 송아지에 주로 나타나는 질병 근변성증(백근병, 2~4 개월령 송아지에 다발), 콜린 결핍증(1개월령 이하), 저 마그네슘 혈증성 강직(2~4개월령 대용유 사육), 비타민 A 결핍증(7~8 개월령), 헤모필루스성 패혈증(1~2개월령 다발), 산발성뇌척수염, 급성 납중독 다. 1세 이하의 송아지에 주로 나타나는 질병: 헤모필루스성 패혈증(2~12개월령), 회백뇌 연화증(티아민결핍증, 9~12개월령), 산발성뇌척수염, 제엽염(5~6개월령) 라. 임신우의 분만 전후에 나타나는 질병 유열, 저마그네슘 혈증성 강직, 케토시스, 제엽염, | |||||||||||||||||||||||||||||
2. 소의 기립불능 또는 파행 유발 질병 | |||||||||||||||||||||||||||||
가. 성우의 기립불능 또는 파행 유발 질병 성우에서 기립불능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으로는 영양 또는 대사성 질병, 전염성 질병, 중독증 등이 있으며, 기타 분만 전후 분만과 관련된 물리적 손상에 기인된 것과 발굽이나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된 파행 유발 질병 등이 있다. 특히 임상적으로 국내에서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영양 및 대사성 질병과 농장내 또는 농장간 전파가 가능한 전염성 질병에 대하여 각각의 주요 임상증상, 원인 및 예방 대책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 |||||||||||||||||||||||||||||
(1) 영양, 대사성 질병 | |||||||||||||||||||||||||||||
| |||||||||||||||||||||||||||||
(2) 감염성 질병 | |||||||||||||||||||||||||||||
(가) 바이러스성 | |||||||||||||||||||||||||||||
| |||||||||||||||||||||||||||||
(나) 세균성 | |||||||||||||||||||||||||||||
| |||||||||||||||||||||||||||||
(다) 기타 전염성 질병 | |||||||||||||||||||||||||||||
| |||||||||||||||||||||||||||||
(3) 중독성 질병 | |||||||||||||||||||||||||||||
| |||||||||||||||||||||||||||||
(4) 파행 유발 질병 | |||||||||||||||||||||||||||||
| |||||||||||||||||||||||||||||
나. 송아지의 기립불능 유발 질병 송아지에서도 성우와 마찬가지로 기립불능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에는 영양 또는 대사성 질병, 전염성 질병, 중독증 등이 있으며, 특히 모축의 영양 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모기를 비롯한 매개성 전염성 질병으로 인한 송아지의 유산이나 기립불능 발생 예가 많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 |||||||||||||||||||||||||||||
(1) 영양, 대사성 질병 | |||||||||||||||||||||||||||||
| |||||||||||||||||||||||||||||
(2) 전염성 질병 | |||||||||||||||||||||||||||||
| |||||||||||||||||||||||||||||
3. 기립불능우에 대한 대책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립불능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그 대책을 수립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으나, 2000년 기립불능증이 주로 혹서기에 발생하였으므로 이에 준하여 대책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크게 두 가지 단계로 제 1단계는 각각의 기립불능 원인별 대책을 수립하여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목장별로 환기, 그늘막, 분뇨처리 시설의 운영으로 환경 개선을 하여 주고, 소들의 영양관리를 개선하여 주는 것이다. 제 2단계는 기립불능 발생 시 조기 진단 및 치료로 농가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단계이다. 농가에서 기립불능이 발생하면 각 시·군에 빨리 신고(전용전화: 1588-4060)하여 관할 가축위생시험소 및 공수의가 농가를 방문하여 기립불능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현장 방역조치 후 필요할 경우 검사 시료를 채취하여 시험소나 수의과학검역원에서 병성감정을 실시하여 정밀 실험실 검사 후 원인을 면밀히 검사하여 결과를 농가에 통보하여 줌으로써 조기 치료 및 예방 대책을 수립하도록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또한 농협중앙회를 주관으로 지역 축협과 협조하여 기립불능 발생축 진료 지원반을 운영할 계획이다. 따라서 농가에는 사육 환경의 개선에 만전을 기하고 소의 상태를 매일 면밀히 관찰하여야 하며, 혹시라도 기립불능 발생 시에는 조기에 신고하여 피해를 최소화하여야 할 것이다. | |||||||||||||||||||||||||||||
참 고 문 헌 KUF. Jubb. et al. 1997. Pathology of domestic animal. Vol 1, 4th ed. s Radostitis, C. C. et al. 2000. Vet. Medicine. |
*** 1995년까지에만, 영국의 광우병 원인 육골분 사료가 1354톤이나 국내로 수입, 소진되었다고 한다. 한우에게서 2000년도 하절기에 기립불능증이 전국다발적으로 발생하기 시작했다면, 광우병의 소에서의 잠복기 4년과 광우병 육골분 사료 수입시기와 얼추 맞는 것임을 의심해야 할 것이다.
파아란.
'시사-논평-성명서-칼럼.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회는 즉시 등원 되어야 한다. (0) | 2008.06.15 |
---|---|
*** 국회는 즉시 개원되어야 한다 *** (0) | 2008.06.09 |
박은 이대통령까지 무릎 꿇리려는가? (0) | 2008.06.02 |
백원에 딸파는 北의엄마, 광우시위에 아기이용하는 南의엄마 (0) | 2008.06.02 |
이대통령을 위하여 기도하여야 할 이유 (0) | 2008.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