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 커지자 나란히 입장 발표…네티즌들 "피해자 월북으로 몰면서 유족 두 번 죽여" 대통령 실종, 청와대 실종, 정부 실종…北으로 갔나?
청와대는 30일 "23일 새벽, 청와대 관계 장관 회의에서의 '북한에 먼저 알아보자'라는 판단이 '피살 발표'를 37시간 늦췄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일 이같이 주장했다.
그러자 국방부도 같은날 "우리 군이 획득한 첩보사항에 '사살', '사격' 등의 용어는 없었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 공무원이 북한에 의해 발견된 뒤 총살 당하기까지 무대응으로 일관했다는 비판이 커지자 청와대와 군이 같은날 반박에 나선 것이다. 전날 해양경찰청은 총살 피해자가 월북했다고 발표했다.
그러자 네티즌들은 청와대와 정부가 무대응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피해자가 월북 한 것처럼 몰아가면서 북한이 피해자의 시신을 소각한 사실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靑, 서면 브리핑 통해 언론보도 반박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37시간 지연 발표 의혹을 부인하면서 "당시 관계 장관 회의는 단편적인 첩보들을 공유해 신빙성을 확인하는 과정이었다"며 "'북한에 먼저 알아보자'는 언급이 있었다는 보도는 명백한 오보이며, 또 다른 언론의 '北 통지문 거짓말… 정부는 그날 '40분 진실' 알고 있었다'는 보도도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또 "우리 군이 획득한 첩보 사항에 '사살' '사격' 등의 용어는 없었다"며 "총격했을 정황과 (시신을) 불태운 정황 등이 보였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이 또한 단편적인 여러 첩보들을 종합 분석해 상당한 시간이 지난 뒤 재구성한 내용"이라고 덧붙였다.
국방부는 국민의힘 주장 반박… 일부 언론엔 유감 표시
국방부도 이날 오후 출입기자단에 입장문을 보내 전날(29일)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주장을 반박했다. 주 원내대표는 지난 29일 YTN라디오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국방부가 특별 정보(SI·Special Information)에 의해서 시신을 불태웠다고 확인했다고 보고했다"며 "'(A씨) 몸에다가 연유를 발랐다'라는 내용이 이 SI에 포함돼 있었다"고 밝힌 바 있다.
국방부가 출입기자들에게 보낸 입장문에는 "북한군에 의해 피격돼 숨진 해양수산부 공무원 A씨 사건과 관련해 우리 군이 획득한 첩보사항에 '사살'이나 '사격' 등의 용어는 없었다"고 나와 있다. 그러면서 국방부는 "일부 매체가 첩보 처리 과정의 이해 없이 군이 마치 폐쇄회로(CC)TV를 보듯이 실시간 모든 사실을 파악하고 있으면서도 아무 대응을 하지 않은 것처럼 보도했다"며 유감을 표시하기도 했다.
이 가운데 전날 해경의 발표한 'A씨 월북 정황' 브리핑도 주목을 받는다. A씨가 월북했다 밝히면서도 시신 소각 등 정부에 불리한 부분을 빼놨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윤성현 해경청 수사정보국장은 29일 브리핑에서 "표류 예측 결과와 실종자가 실제 발견된 위치는 상당한 거리 차이가 있었다"며 "인위적인 노력 없이 (소연평도 인근 해상에서) 실제 발견 위치까지 (단순히) 표류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윤 국장은 이어 "실종자는 연평도 주변 해역을 잘 알고 있었다"며 "지금까지 수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실종자는 월북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피살된 A씨가 북한까지 표류된 것이 아니라 헤엄쳐서 '월북'했다는 설명이다.
해경은 북한의 시신 소각 정황에 대해선 "국방부 자료에 의해 총격에 의한 것까지만 확인했고 시신 훼손은 확인 못 했다"고 밝혔다. 국방부와 해경이 A씨의 월북 시도 정황은 구체적으로 공개하면서도 최초 언론에 발표할 당시 "시신을 불에 태웠다"는 내용에 대해서는 입을 닫은 것이다.
네티즌 "탁치니 억하고 죽었다가 더 신빙성 있어"
청와대와 국방부·해경 모두가 A씨의 월북 정황은 적극적으로 밝히면서도 시신 소각 문제는 모르쇠로 일관하며 북한을 두둔하자 네티즌들 사이에선 비판 여론이 거세다.
네티즌 tspa****은 "문재인을 비호 하려고 그냥 막 나가고 있다"며 "차라리 책상을 탁치니 억하고 죽었다가 더 신빙성 있겠다"고 비판했다. 또 다른 네티즌 supi****은 "월북이든 아니든 비무장 민간인을 처참히 살해하고 시신을 소각한 것에 무게를 둬야한다"며 "(정부는) 왜 자꾸 월북 프레임으로 사자와 유가족을 두 번 죽이느냐"고 지적했다.
익명을 요구한 국민의힘 한 관계자도 본지에 "자신들이 불리한 것에는 입에 자물쇠를 채운 양 행동하는 것이 정말 민주당 답다"며 "북한 정권을 비호하기 위해 유가족의 가슴에 대못을 박고 있다"고 말했다.[박찬제 기자 2020-09-30 16:02]
************************************* 추미애
"아들 문제는 정치공세, 사과 없으면 조치"…여론은 "뻔뻔함의 극치"
30일 페이스북 통해 입장문…네티즌들 "당신 거짓말이나 사과 하라" 추반하장(秋反荷杖)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검찰 조사에서 아들의 군 휴가 연장을 둘러싼 의혹이 무혐의 처분을 받자 페이스북을 통해 입장문을 밝혔다. 자신의 아들에 대한 의혹 제기가 무분별한 '정치 공세'라는 입장이지만, 네티즌들 사이에선 "뻔뻔함의 극치"라며 추 장관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세다. 아들 문제가 '무혐의' 처분을 받기는 했지만, 그간 추 장관이 수 차례 거짓말을 한 정황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추 장관은 30일 페이스북을 통해 "제보자의 일방적 주장을 어떤 객관적 검증이나 사실확인도 없이 단지 정쟁의 도구로 삼은 무책임한 세력들은 반드시 엄중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秋 "정쟁 도구로 삼은 세력… 엄중한 책임 져라"
그는 "(이번 일은) 정치공세 성격이 짙은 무리한 고소·고발로 국론을 분열시키고 국력(공권력)을 소모한 사건"이라며 "합당한 사과가 없을 시 후속 조치를 취할 것"이라 밝혔다.
이어 언론을 향해서도 날을 세웠다. 추 장관은 "사실과 진실을 짚는 대신 허위의 주장을 그대로 싣고, 더 나아가 허위를 사실인 양 보도한 다수 언론은 국민께 커다란 실망과 상처를 줬다"고 말했다. 언론이 사실관계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제보자와 야당의 허위 주장을 그대로 보도했다는 말이다
. 그러면서 추 장관은 "많은 이야기를 하지 않아도 국민들께서는 알고 있다"며 "왜 유독 문재인 정부의 법무부 장관들을 타겟으로 보수 야당과 보수 언론이 집요하게 정치적 공세를 펼치나"라고도 주장했다. 아울러 추 장관은 "검찰개혁과 공수처 설치를 조속히 완수해 촛불시민의 염원을 이뤄내고 마지막까지 문재인 정부의 성공에 기여하겠다"고 덧붙였다.
국회에선 "그런 사실 없다"… 검찰 수사자료 살펴보니 전부 '거짓말'
이같은 사실이 전해지자 네티즌들은 추 장관을 향해 "뻔뻔하기 그지없다"고 비판했다. 검찰 수사 결과, 추 장관이 그간 국회에서 밝힌 해명이 거짓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지난 28일 서울동부지방검찰청이 밝힌 수사자료에 따르면, 추 장관과 당시 보좌관 최씨는 서씨의 휴가 연장과 관련해 두 차례 연락을 주고받았다. 특히 서씨가 휴가 추가 연장 승인을 받은 2017년 6월21일에 추 장관은 최씨에게 아들이 복무하는 부대의 지원장교 휴대전화 번호를 넘겨줬다. 이후 최씨는 "바로 통화했다. 지원장교에게 예후를 좀 더 봐야 해서 한 번 더 (휴가를) 연장해달라고 요청해 놓은 상황"라고 추 장관에게 답변을 보냈다.
추 장관은 자신의 보좌관이었던 최씨가 부대 관계자인 지원장교 A씨와 연락을 주고받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던 셈이다. 이는 추 장관이 그동안 국회에서 해온 해명과는 상반된다.
추 장관은 지난 14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보좌관에게 전화를 걸라고 시킬 사실이 없다"며 "(전화를 했는지) 제가 알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1일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도 "보좌관이 그런 사적인 일에 지시를 받고 하겠나. 그런 사실이 있지 않다"고 극구 부인했다.
이 때문에 네티즌들은 추 장관을 향해 강한 비판을 제기했다. 네티즌 husk****은 "위증에 대한 사과가 먼저 아닌가"라 지적했고, 네티즌 youw****은 "당신 정말 뻔뻔하다"며 "당신이 한 거짓말에 대한 사과는 없느냐"고 물었다.
이 외에도 "거짓말쟁이 법무부 장관님, 우리는 진실을 원할 뿐입니다" "뻔뻔함의 극치" "법무부 장관 요건에 '거짓말을 밥 먹듯 할 것'이라는 요건이 있나 보다" 등 의 비판 댓글이 이어졌다.[박찬제 기자 2020-09-30 1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