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지키자 ! 대한민국!

검은 돈의 실체. 본문

시사-논평-성명서-칼럼.기사

검은 돈의 실체.

새벽이슬1 2009. 4. 11. 13:33

검(檢) "노(盧)측 '빌렸다' 주장 일고 가치 없어"… 퇴임후 대비한 돈인가

박연차식(式) '달러 로비'로 100불짜리 1만장 받아…
작년 받은 500만불 합쳐 대선잔금 가능성도 거론

박연차 회장이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줬다고 검찰이 파악한 돈이 미화(美貨) 100만달러인 것으로 확인되면서, "권양숙 여사가 빌린 것"이라는 노 전 대통령측의 해명은 거짓말이었음이 점차 확연해지고 있다.

또 100만달러가 전달된 2007년 7월은 노 전 대통령 퇴임을 7개월 앞두고, 측근들이 '대통령 재단(財團)' 재원(財源) 마련 논의를 한창 하던 때여서, 이 돈이 대통령 퇴임 후를 대비한 돈이 아니겠느냐는 의문이 깊어지고 있다.

1만달러짜리 돈다발 100개를 돈가방에

정상문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과 박 회장에 대한 검찰 수사결과에 따르면, 박 회장의 지시를 받은 정승영 정산개발 사장이 직접 청와대로 정 전 비서관을 찾아왔다. 그는 정 전 비서관에게 100달러를 100장씩 묶은 1만달러짜리 돈다발 100개가 담긴 돈 가방을 건넸다.

100달러 지폐를 사용한 것은 크기가 작고 고액권이어서 남의 눈에 띄지 않게 운반하기 간편하고, 세탁한 비자금을 사용함으로써 수사기관의 자금추적을 피하기에도 좋다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100달러 지폐를 사용한 '달러 로비'는 박 회장이 정·관계 로비에 단골로 사용해온 방법이다. 박 회장은 이 돈을 정 전 비서관을 통해 노 전 대통령에게 준 것이라고 검찰에서 진술했다고 한다. 때문에 검찰은 '권 여사가 빌렸다'는 노 전 대통령측 주장은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보고 있다. 홍만표 대검 수사기획관도 9일 브리핑에서 "박 회장은 빌려줬다고 진술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수심 가득찬 두 사람 착잡한 표정이 닮았다. 9일 오전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의 노무현 전 대통령 사저에서 두문불출하고 있는 노무현 전 대통령(왼쪽)과 권양숙 여사가 카메라에 잡혔다./연합뉴스
대통령 재단 논의하던 시점에 건네진 100만달러

박 회장이 노 전 대통령에게 줬다는 100만달러가 전달된 시점은 박 회장과 노 전 대통령의 또 다른 후원자인 강금원 창신섬유 회장, 정 전 비서관이 대통령재단 설립 자금 조달 문제를 논의한 3자(者) 회동(2008년 8월)을 가지기 직전이다.

강 회장은 3자 회동에서 박 회장이 "홍콩 계좌에 500만달러가 있으니 가져가라"고 하자, "'이름표가 달리지 않은 돈'은 받을 수 없어 거절했다"고 말했다. '검은돈'은 받을 수 없었다는 것이다.

검찰은 그러나, 3자 회동의 일원(一員)이었던 정 전 비서관이 회동 직전에 검은돈이라던 박 회장의 '달러 뭉치'를 청와대 관저에 배달한 점으로 볼 때, 강 회장의 주장도 믿을 수 없다고 보고 있다.

결국 노 전 대통령의 조카사위인 연철호(36)씨가 2008년 2월 받았다는 500만달러 역시 노 전 대통령 주장대로 '순수한 투자금'이 아니라 노 전 대통령 몫 아니냐는 것이다.

노 전 대통령의 장남 건호(36)씨는 연씨가 돈을 요구하고(2007년 12월) 받았다는 시점(2008년 2월)에 박 회장을 만난 사실이 이미 드러났다.

600만달러, 원래 주인에게 돌려준 것?

검찰은 일단 노 전 대통령 일가에게 건너간 비자금 '600만달러'가 박 회장이 노무현 정권 시절 농협 자회사인 휴켐스를 헐값에 인수하고, 진해 동방유량 부지 고도제한을 완화해 400억원대 차익을 남기는 등 이권의 대가인지를 집중 추적하고 있다.

홍 기획관은 9일 브리핑에서 "500만달러든 100만달러든 노 전 대통령이 달라고 요청한 것이냐"는 질문에, "수사가 어느 정도 진행돼 있다"고 말했다. 노 전 대통령이 돈을 먼저 요구한 것이 사실이라면, 박 회장의 뒤를 봐준대가를 사후에 요구하는 일종의 사후 수뢰(受賂) 성격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돈을 주는 쪽이 먼저 청탁을 하고 돈을 건네는 것이 '통상적'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일각에선 이 돈이 원래 노 전 대통령의 것이며, 박 회장이 해외 계좌에서 세탁해준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정치권에선 '퇴임 후 구상'을 실현하기 위해 돈이 필요했던 노 전 대통령이 깊숙이 묻어두었던 당선축하금이나 대선 잔금을 꺼내 쓰려 했을 가능성을 거론하기 시작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