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키자 ! 대한민국!
대구국제공항 국제선 유치전략! 본문
대구시, 대구국제공항 국제선 유치 전략 고도화한다!
대구국제공항 국제선 신설 항공사 재정지원 정책 전면 개편
대구시는 지난 4년간 시행해 온 대구국제공항 활성화 시책 전반에 대해서 자체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공항 시설 여건 및 수용능력 등 한정된 자원으로 지역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대구공항 국제선 신설 항공사 재정지원 정책을 전면 개편하기로 하였다.
□ 대구국제공항은 국제선 여객 부문에서 전국 4대 공항*으로 급성장하였고, 지난해 대구공항 이용객은 406만 명을 기록하면서 공항시설 과포화 단계에 진입하였다.
- (’14년) ①인천, ②김해, ③김포, ④제주, ⑤청주, ⑥대구, ⑦무안, ⑧양양
- (현 재) ①인천, ②김해, ③김포, ④대구, ⑤제주, ⑥청주, ⑦무안, ⑧양양
□ 그 동안 대구시는 국제선 신설 항공사에 대한 적극적인 행정적·재정적 지원 정책을 실시하여 왔으며, 이는 항공사의 노선 신설 초기 적자 부담감 해소와 노선의 조기 정착에 기여하여 왔다.
□ 이로 인해, 항공사의 노선 공급 확대가 이어지고, 국제노선의 실질적인 다변화의 결실로 나타나면서, 지역민의 항공서비스 선택권 확대와 인천·김해공항을 이용해야 했던 시간적·경제적 기회비용의 절감이 가능해졌다.
□ 하지만, 출국하는 내국인(아웃바운드)과 대구를 찾는 외국인(인바운드) 비율의 불균형이 심화되는 등 대구공항의 양적 확대는 이루어졌으나, 지역에 보다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질적 성장은 일부 미흡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 또한, 시설여건과 슬롯(시간당 항공기 이·착륙 횟수) 부족 등으로 우리 지역에 꼭 필요로 하는 항공 노선 개설이 어려워짐에 따라 국제선 신설에 따른 재정지원 정책을 전면 개편키로 하였다.
□ 대구시는 관광업계, 상공계, 공항운영기관 등 관계 기관(부서)의 의견청취 및 실무회의를 거쳐 대구국제공항의 국제선 개설 전략을 구체화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지역 경제 및 비즈니스 활성화, 유입 관광객 확대 등 우리 지역에 보다 많은 역할이 가능한 정책노선의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해당 노선 신설에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집중할 계획이다.
○ 따라서, 우리 지역에 미치는 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단순 송출 관광객 위주의 일반노선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한다.
○ 금년도 집중적으로 육성할 정책노선은 나고야·히로시마(일본), 가오슝(대만), 청도(중국), 호치민(베트남), 마닐라(필리핀), 쿠알라룸푸르·조호르바루(말레이시아)의 8개 노선이다.
○ 또한, 양국 간 항공회담을 통한 항공자유화협정(Open-sky) 체결 또는 운수권 배분을 통해서 운항이 가능한 지역인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몽골, 중국 내륙도시의 경우에도 대정부 협력 등의 행정적 지원과 함께 재정적 지원을 병행할 계획이다.
○ 둘째, 국제선 신설 모집 방식에 있어, 단순 협약 방식(취항 가능 항공사에 요청하는 방식)에서 공개모집 체계로 개편함으로써, 항공사 간 선의의 경쟁 촉진을 유도하여 노선 개설 시기를 앞당길 계획이다.
○ 셋째, 지역의 항공수요가 재확인되고 있는 만큼, 재정지원 대상 기준 탑승률을 왕복 75% 미만에서 70% 미만으로 하향조정함으로써, 재정지원 방식을 강화한다.
□ 대구시 이승호 경제부시장은 “우리 시의 적극적인 항공사 재정지원 정책은 신규 항공사 유치, 노선 공급 확대로 인한 일자리 창출, 외국인 관광객 유입, 세수 확대 등 많은 효과를 거두어왔다”면서, “앞으로 우리 지역에 보다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는 노선 개설에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대구국제공항 전경〉
□ 대구국제공항은 국제선 여객 부문에서 전국 4대 공항*으로 급성장하였고, 지난해 대구공항 이용객은 406만 명을 기록하면서 공항시설 과포화 단계에 진입하였다.
- (’14년) ①인천, ②김해, ③김포, ④제주, ⑤청주, ⑥대구, ⑦무안, ⑧양양
- (현 재) ①인천, ②김해, ③김포, ④대구, ⑤제주, ⑥청주, ⑦무안, ⑧양양
□ 그 동안 대구시는 국제선 신설 항공사에 대한 적극적인 행정적·재정적 지원 정책을 실시하여 왔으며, 이는 항공사의 노선 신설 초기 적자 부담감 해소와 노선의 조기 정착에 기여하여 왔다.
□ 이로 인해, 항공사의 노선 공급 확대가 이어지고, 국제노선의 실질적인 다변화의 결실로 나타나면서, 지역민의 항공서비스 선택권 확대와 인천·김해공항을 이용해야 했던 시간적·경제적 기회비용의 절감이 가능해졌다.
□ 하지만, 출국하는 내국인(아웃바운드)과 대구를 찾는 외국인(인바운드) 비율의 불균형이 심화되는 등 대구공항의 양적 확대는 이루어졌으나, 지역에 보다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질적 성장은 일부 미흡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 또한, 시설여건과 슬롯(시간당 항공기 이·착륙 횟수) 부족 등으로 우리 지역에 꼭 필요로 하는 항공 노선 개설이 어려워짐에 따라 국제선 신설에 따른 재정지원 정책을 전면 개편키로 하였다.
□ 대구시는 관광업계, 상공계, 공항운영기관 등 관계 기관(부서)의 의견청취 및 실무회의를 거쳐 대구국제공항의 국제선 개설 전략을 구체화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지역 경제 및 비즈니스 활성화, 유입 관광객 확대 등 우리 지역에 보다 많은 역할이 가능한 정책노선의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해당 노선 신설에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집중할 계획이다.
○ 따라서, 우리 지역에 미치는 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단순 송출 관광객 위주의 일반노선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한다.
○ 금년도 집중적으로 육성할 정책노선은 나고야·히로시마(일본), 가오슝(대만), 청도(중국), 호치민(베트남), 마닐라(필리핀), 쿠알라룸푸르·조호르바루(말레이시아)의 8개 노선이다.
○ 또한, 양국 간 항공회담을 통한 항공자유화협정(Open-sky) 체결 또는 운수권 배분을 통해서 운항이 가능한 지역인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몽골, 중국 내륙도시의 경우에도 대정부 협력 등의 행정적 지원과 함께 재정적 지원을 병행할 계획이다.
○ 둘째, 국제선 신설 모집 방식에 있어, 단순 협약 방식(취항 가능 항공사에 요청하는 방식)에서 공개모집 체계로 개편함으로써, 항공사 간 선의의 경쟁 촉진을 유도하여 노선 개설 시기를 앞당길 계획이다.
○ 셋째, 지역의 항공수요가 재확인되고 있는 만큼, 재정지원 대상 기준 탑승률을 왕복 75% 미만에서 70% 미만으로 하향조정함으로써, 재정지원 방식을 강화한다.
□ 대구시 이승호 경제부시장은 “우리 시의 적극적인 항공사 재정지원 정책은 신규 항공사 유치, 노선 공급 확대로 인한 일자리 창출, 외국인 관광객 유입, 세수 확대 등 많은 효과를 거두어왔다”면서, “앞으로 우리 지역에 보다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는 노선 개설에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2019-01-21]조회수 : 2,444
'사진-정치,기관 현장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혼에 맞이하는 첫눈! (0) | 2020.11.29 |
---|---|
코로나사태의 지역보건과 커뮤니티케어의 역할과 전망 (0) | 2020.08.06 |
장석춘 후보 지역 문화계 원로들과 환담 지역 문화계 숙원사업 의견 청취 (0) | 2016.03.18 |
장석춘 후보- 농작물 자연재해보전직불제 도입 추진 (0) | 2016.02.29 |
장석춘 구미(을)예비후보 북한 미사일규탄. (0) | 2016.02.12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