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제균
논설위원
‘국운(國運)이 쇠했다’는 말이
--돈 지 오래다.
최근에는 --‘미국의 북핵 선제타격이 임박했다’는 --괴담까지
돈다.
괴담은
‘휴전 이래 -가장 많은- 미군
수뇌부가- 한꺼번에 한국을 방문한 이유가 무엇이겠느냐’는
그럴듯한 추론까지 따라붙는다.
실제 8월에만
미국
태평양사령관과 육군참모총장, 육군 장관과 해군 장관, 미사일방어청장이 방한했다.
北核 정책 실패를 자인한--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다음 달 8일- 대통령 선거 전에 선제타격을 결행해
힐러리 클린턴 후보의 승리에 종지부를 찍으려 한다는 정치공학까지 난무한다.
‘선제타격 임박’ 괴담 돌아
꼭 미국 대선 전은 아닐지라도
북핵 선제타격을 괴담으로만 치부해버리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외교안보 핵심 당국자의 얘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를 배치하려는
미국의 첫 번째 목적은
한국에
주둔하는- 2만8500명의 주한미군을 지키는
것이다.
미국 조야(朝野)는
왜 미국 아들딸을 지키려는 방어 무기의 배치 지역이 공개됐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한국인들이
들고 일어나서 --시위하는 데 배신감까지 느낀다.
미군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면
미국의 선택은 두
가지다.
선제타격,
아니면 미군
철수다.”
선제타격을-- 한다면
북의 핵·미사일 공격체계가-- 완성되기 前에 단행할 것이다.
東北亞-- 패권을 놓고-- 굴기(굴起)하려는- 중국에
본보기를 보이는 데도--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것이다.
軍事力으로는
중국이 --아직 미국의 10분의 1도 안 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3일- “한반도에 -전쟁의 위험이 올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북한 군인과 주민 여러분’에게 “언제든 대한민국의 자유로운
터전으로 오시라”고
발언 수위를 높였다.
만일 북한이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을 실전배치해
선제타격을 당하고도- 반격할 수단을 갖추면- 얘기는 달라진다.
북한 정권이
입으로는-- ‘미국 본토 공격’을 주워섬겨도
실질적인 타깃은 --남쪽일 수밖에 없다.
주한미군의 --직접적인 핵 피해가
가시화하면-- 철수를 할 수도 있다.
북한 위협이 상존하는 가운데
미군이 철수하는 날은
대한민국의-- ‘둠스데이(doomsday·운명의 날)’다.
외국 기업과 외국인 투자를 필두로
탈(脫)한국 러시가 벌어질 것이다.
自由는--
공짜가 아니다(Freedom is not free).
한미동맹 역시- 공짜가 아니다.
國運이-- 벼랑 끝에 걸려-
있음에도
內部를
돌아보면-- 기가 막힌다.
박근혜 정부는
4년 다 되도록 --국회와 싸운 기억밖에- 나질 않는다.
실적을 내지 못한-- 관료들은
여의도 탓 좀 --그만해야 한다.
누란(累卵)의 위기에-- 마음을 기댈 지도자도 -없다.
國內에선
가장 유력한 대선주자인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런 대북제재 국면에 --北韓에 쌀을 지원하자고 김을 뺀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시위 진압용 경찰 살수차에
물을 공급하지 않겠다는- 황당한 얘기도 했다.
꾸어-- 빚으로 정치를 시작한 사람이
지지율이 안 오르니 별소리를
다 한다.
한미동맹 공짜 아니다
대통령 주변에는
눈을 흐리는-- 내시(內侍)만 보이고,
심지어--
‘내시’를 자처한 사람도-- 있다.
대한제국 말기 --고종의 총애를 받은- 내시 강석호는
막강한 권세를 누렸다.
‘대한매일신보’ 논설이
“일인지하(一人之下)요, 만인지상(萬人之上)인
대신들이-- 강석호가 오면 애걸하고…”라고 개탄할 정도였다
(‘제국의 황혼’).
나라가 망하기 2년 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