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우 올림픽에서
펜싱 부문 박상영 선수가 역전승을 거두는 장면이 모처럼 우리들의 마음을 시원하게 풀어주었다. 지금 우리나라
국민들은 그렇게 국민들의 마음을 시원스레 풀어줄 지도자를 기다리고 있다. 식자들은
한결같이 우리나라가 지금 위기에 처하여 있음을 염려한다. 경제의 위기요
산업의 위기요 안보의 위기라 한다.
그러나 이렇게
위기를 당할수록 우리는 자랑스런 조상 이순신 장군의 정신과 기백을 되새겨야 한다. 1597년 임진왜란
6년 만에 조선이
존망의 위기에 처하여 있던 때에 이순신 장군은 누명을 쓰고 파면당하여 고문당하고 목숨이 경각을 다투는 지경에까지 몰렸다. 오로지
천우신조로 삼도수군통제사로 재임명되어 명량해전에 뛰어들던 때에 장군은 말했다.
"신(臣)에게는 아직
12척의 배가 남아
있습니다."
장군은
12척의 배로
130척의 왜선을
물리치는 기적을 일으켰다. 그런 기적이
일어날 수 있었던 근거는 무엇이었을까? 일편단심
나라를 염려하는 마음과 용기 그리고 빼어난 전략이었다. 지금 나라가
위기를 맞고 있는 때에 국민들은 다시 그런 지도자를 그리워한다. 지금 나라의
사정이 어떠한가? 수출은 급감하고
북한은 핵을 가지고 미사일 발사를 계속한다. 이런 때에
사드(THAAD) 문제로 국론은
분열되고 민심은 바닥으로 내려가고 있다. 미국과 중국
사이에 끼인 모습이 고래 사이에 끼인 새우 꼴이다. 거기에다
100년 만에 찾아온
더위로 국민들 마음에는 짜증이 날대로 나있다.
이런 때에
우리는 지난 반백년을 생각하며 자신감을 되찾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품어야 한다. 우리는
6.25전쟁으로 온
강산이 잿더미가 된 자리에서 떨치고 일어나, 산업화를 이루고 민주화를 이루고 정보화까지 이루었다. 세계에 자랑스런
업적을 쌓았다. 그런 우리가
이제 와서 주저앉을 수는 없다. 남은 목표는 두 가지다. 통일을 이루는
것과 선진한국을 달성하는 것이다. 이 일에 꼭 필요한 것이 지도력이다. 이 나라는
준비된 국민은 있는데 준비된 지도자가 없다. 어찌할
것인가?
우리나라가
통일한국을 이루고 선진한국을 이루어 한강의 기적을 한반도의 기적으로 끌어올리는 데에 가장 필요한 것이, 나라의 각
분야를 바람직하게 이끌어 나갈 지도력이다. 분열된 국론을 통합하여 모두가 고루 잘 사는 나라를 이루고
통일한국시대를 열어 나갈 지도력이다.
미래희망의 작은 발걸음
두레자연마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