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仁)
아무리 나의 글이 조회수가 저조하다 할지라도
꾸준히 글을 올리니
이것을 ''인(仁)'' 이라 한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9/4_blog_2007_05_08_03_23_463f6e8892c0a?x-content-disposition=inline)
2. 의(義)
정성들여 올린글을
그 앞글과 뒷글까지 읽어주니
이것을 ''의(義)'' 라 한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9/13_blog_2007_05_08_03_23_463f6e8b5cf07?x-content-disposition=inline)
3. 예(禮)
재미있는 글을 읽었을땐 그 글을 쓴이에게 간단하게
리플이라도 달아 감사의 뜻을 전하니
이것을 ''예(禮)'' 라 한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9/33_blog_2007_05_08_03_23_463f6e8e705bc?x-content-disposition=inline)
4. 지(智)
웃기는 글을 쓰기란 하늘의 별을 따는 것처럼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작은 미소에도 리플로서 답하는
아량을 깨달으니 이것을 ''지(智)'' 라 한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9/15_blog_2007_05_08_03_23_463f6e918e467?x-content-disposition=inline)
5. 신(信)
비록 자신의 글을 읽어 주는 이가 적을지라도
그들을 위해 더욱더 열심히 글을쓰니
이것을 ''신(信)'' 이라 한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9/18_blog_2007_05_08_03_23_463f6e9465a55?x-content-disposition=inline)
6. 화(和)
남의 글에 논리적 하자가 있거나 독단적이거나
치졸함이 보이더라도 절대로 반론이나
비평을 가하지 않고 "잘 읽었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라고 reply 하는 인내심을
일컬어 이것을 ''화(和)'' 라한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9/29_blog_2007_05_08_03_23_463f6e9a02137?x-content-disposition=inline)
7.겸(謙)
퍼옮기고 싶은 게시물을
발견했을때에는
혹시 먼저 퍼옮겨진 것이 아닌가
반듯이 확인한후
중복이 안될때에만 퍼옮기고
아무리 기술이 뛰어나고
자료가 많더라도
혼자서 홈페이지를
도배질하려 들지 말아야 하니
이를 '겸(謙)'이라 한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9/28_blog_2007_05_08_03_23_463f6e9c77e77?x-content-disposition=inline)
8.양(讓)
방문자로서 타인 혹은
타단체의 홈을 찾을 때에는
될수 있는대로
집주인에게 모든 것을 맡기고
게재물 올리는 회수도
1일 1~2건이하로 스스로 줄이며
손님의 분수를 조심스럽게 지켜야 하니
이것을 '양(讓)'이라 한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9/34_blog_2007_05_08_03_23_463f6ea48354f?x-content-disposition=inline)
9. 노(努)
자신이 올린 게시물에
착오가 없는가 하고
끊임없이 살피고 주의를 기울이며
보다 알찬 내용을 갖추기 위해
수정과 보완을 계속하니
이것을 '노(努)' 라 한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9/20_blog_2007_05_08_03_23_463f6ea789145?x-content-disposition=inline)
10. 정(正)
자신이 올린 게시물에
아무런 하자가 없더라도
타인에게 상처를 입히거나
불이익을 주게 되면
주저없이 게시물을 내리거나
내용을 고치니
이것을 '정(正)'이라 한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9/22_blog_2007_05_08_03_23_463f6ea9da0cd?x-content-disposition=inline)
(행복한 만남 ,,카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