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여론조사를 통한 대통령 지지도를 앞세워 정책을 과감히 추진하고
있지만,
여론조사 응답률은 1-10%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국민 의견
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지적됐다.
여기서
응답률이란 ‘전화
연결이 된 자’(여론조사기관의
수많은 통화시도
끝에
통화성공으로 일단 전화 연결이 된 사람) 중에서 ‘답변거부자’를
뺀
나머지 ‘답변응답자’를
다시 ‘전화
연결이 된 자’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표시한
수치를 말한다.
퇴직
기자들의 모임인 대한언론인회가 발행하는 월간신문 ‘대한언론’
11
월호
보도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 지지도 조사의 경우, 지난 9월
하순
실시된 ‘데이터앤리서치’의
응답률은 1.7%,
10월
중순 한국갤럽의 응답
률은 18.3%로
나타나는 등 응답률은 전반적으로 최소 1%대에서
최고
10%대였다.
이
신문은 서옥식 편집위원(전
연합뉴스 편집국장)의
기명 기사에서 “이
같은
조사 결과는 국가정책 수행에 대한 찬반 전화여론조사에서 일단 통
화성공이
이뤄진 국민 100명에게
의견을 물었을 때 찬성이든 반대이든
응답을
하는 사람이 최소 1명에서
최대 10여명밖에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하
는
것”이라고
밝히고 “이는
여론조사에 기댄 국정운영이 위험할 수도 있다
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신문은 탈원전을 공약으로 내세운 문재인 정부가 건설중인 신고리 원자
력발전소 5-6호기
백지화를 추진하다가 좌절된 것도 응답률이 낮은 여론
조사결과를
과신한 측면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문은 “현대사회에서
정책결정 과정에 여론수렴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여론심의위원회(여심위) 집계에
따르면 문재인 대
통령의
정책수행에 대한 국내 11개
여론조사기관의 최근 3개월(8-10월)
간
지지도 조사에서 조사대상자 응답률은 최하 1.7%에서
최고 18.3%로
나타났다.
이러한
응답률은 여론조사가 국민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서옥식
편집위원에 따르면 문대통령의 취임 약 100일이
되는 지난 8월 15
일부터
취임 150일이
조금 지난 시점인 10월 19일
까지 실시된 여론조사
기관별 ‘문재인대통령
국정수행평가 조사’에
따르면 응답률은
▲마크로밀
엠브레인 11.1%(8월 14-15일), ▲폴스미스 2.4%(8월 21-22일),
▲에스티아이 6.6%(8월 25-26일), ▲조원씨앤아이 3.3%(9월 2-4일),
▲칸타코리아 10.6%(9월 21-23일), ▲데이터앤리서치 1.7%(9월 25-26일),
▲리서치뷰 3%(9월 28-30일), ▲한국사회여론조사연구소(KSOI)
13.4%(10
월 13-14일), ▲한국리서치 13.6%(10월 13-14일), ▲리얼미터 5.2%(10월
16-18일), ▲한국갤럽 18.3%(10월 17-19일)등으로
나타났다. 평균 8.1%였다.
이
기간 중(8월 15-10월 19일)
‘여심위’ 홈페이지에
등록된 여론조사결과
총 79건 중
문재인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에 관한 여론조사는 무려 54건이
었다. 이들 79개
여론조사의 평균 응답률(단순평균)은 10% 안팎이었다.
그러나
문 대통령 국정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율은 비슷한 시기에 이뤄진 조
사들
간에도 많게는 20%포인트
가까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당
정치인들은 60-80%대를
오르내리는 문 대통령 높은 지지율에 대해 여론조
사기관의
조작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처럼 여론조사의 큰 문제점 중의 하나는 낮은 응
답률이다. 데이터앤리서치는
지난 9월 25-26일
동아일보 자매지 주간동아
의
의뢰로 문 대통령 국정 수행평가 여론조사를 하면서 전국 19세
이상 남녀
25만6천310에게
무선 ARS방식으로
전화를 걸었다.
이
중 16만 1천 88회는
팩스, 사업체번호, 결번
등이었고 3만 6천 172회는
통화중, 부재중
등의 이유로 통화에 실패했다. 전화불통이
무려 19만 7천260
명에
달한 셈이다. 반면
전화 연결이 된 것은 5만 9천 50명뿐이었다.
이
중에서도 5만 8천 45명은
응답을 거절했고 1천 5명만이
조사에 응했다.
응답률은 1.7%, 지지율은 62.9%였다. 응답을
완료한 1천 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지자가 62.9%라는
것은 632명이
문 대통령을 찬성했다는
얘기다.
신문은 “문제는 5만 9천 50통
중에서 조사 취지(문대통령
국정수행 평가)를
말하자
아예 끊어버리거나 통화중에 끊어버린 사람이 5만 8천 45명이라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왜
그들은 조사에 불응했을까?
현
정부가 잘하느냐고 묻는데 동의할 수가 없어 그냥 끊어 버렸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이들의 상당수는 문재인 정부의 반대자라고 볼
수
있다”고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응답률이 높았던 한국갤럽도 지난 10월 17-19일 4만 1천
860명에
유선전화면접을 시도했다. 그러나
전화가 연결된 사람은 5천 486
명뿐이었고,
이 가운데 4천482명은
응답을 거절하거나 중도 포기했다.
결국
응답을 완료한 사람은 1천4명(18.3%)이었고
문 대통령 지지율은 70
%였다. 대통령 선거나 국회의원 총선거 등 선거와
관련된 여론조사는 ‘여
심위’에서 관리, 규제한다.
하지만 ‘대통령 국정 지지도’나 ‘정부의 정책 찬반’ 등을 묻는
사회여론조사
는 이런 규제장치가
전무하다. 사회여론조사는 방송통신위원회의의
방송윤
리심의위원회(방심위)에서 관리하고
있지만, ‘여심위’보다 전문성이나
신뢰
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없지
않다.
이렇게 보면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과정에서
역대 대통령들 중 최저의 지
지율을 기록했다는 언론보도는 얼마만큼 정확한
여론조사에 근거했는지
모른다.
물론
응답률이 여론조사 정확도와 반드시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은 아
니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응답률보다 중요한 것은 표본의 대표성이라고
강조한다.
응답을
거부하는 사람이 많아도 성별, 지역별, 연령별
인구 비율만 맞춰서
조사하면,
이론적으로 편향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문 대통령
의
좌익정부 하에서 우익인사들은 답변을 거부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이들은
또한 우파정치권에 실망한 나머지 여론조사에 적극 참여하지 않는
다고
볼 수 있다.
[조영환
편집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