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키자 ! 대한민국!
심금을 울리는 사진들 본문
![]() 사진의 역사에서 수많은 영웅들이 있었다. 그 영웅들 중에서도 상당히 앞자리에 ![]() 1971년 국제커피기구에서 일하던 스물아홉살 경제학자가 아내와 함께 농업 지원차
아프리카 땅을 밟았다. 젊은 부부의 눈앞에 펼쳐진 아프리카의 현실은 슬픔 그 자체였다.
그 슬픔을 직면한 경제학자는 아내가 갖고 있던 카메라로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
사진이, 아프리카가 그의 운명을 바꿨다. 경제학자는 펜 대신 카메라를 잡고
다큐 사진가가 되었다. 그 사람이 바로 세바스치앙 살가두(1944~)다.
살가두는 온몸으로 세상을 사는 이들을 사진으로 찍었다. 유럽으로 이주했던 그는 사진을 만난 뒤 자기 조국 브라질로 돌아갔다. 그리고 중남미를 누비며 원주민들을 찍은
<다른 아메리카인들>(제목부터 의미심장하다) 시리즈로 세계적 사진가로 등장한다.
하지만 뭐니뭐니해도 그를 유명하게 만든 것은 일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대로 잘라내 사람들 눈앞에 들이댄 <노동자들> 시리즈였다. 특히 주목받았던 사진이 사람들이
마치 개미처럼 일하는 브라질 세라 페라다 금광 노동자들의 모습이었다.
![]() 저 브라질 광산 사진으로 그는 당대 최고의 다큐 사진가 반열에 오른다. 이후 그는 ![]() ▲ 얼핏 보면 바톤을 건네는 것처럼 보이는 저 손. ![]() 살가두는 아내와 함께 조국 브라질의 숲을 살리고 있다. 무분별한 벌목으로 망가지는 이 살가두가 가장 오랫 동안 다뤄온 주제가 `아프리카'다. 그를 사진가로 만든 땅, ![]() ![]() ▲ 앞 친구의 등에 공책을 대고 공부하는 아이들 모습... 사진을 누르면 커집니다 ![]() ▲ <마타 차밭에서 일하는 아이>, 1991년 르완다. 사진을 누르면 커집니다. 그는 "아프리카 모습을 찍은 사진을 보고 동정심이 생긴다면 내 사진을 잘못 이해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살가두에게 미안하게도 나는 저 사진들을 보며 동정심을 억누를 수가 없다. 그의 말처럼 `동정심'보다 `동료애'가 우리에게 자리잡기 위해서는 그런 감정 단계를 거쳐야 할
것이다.
![]() ▲ 사진을 누르면 커져요 ![]() 살가두는 그 세계적 명성에 비춰 국내에선 접하기 어려웠던 사진가다. 이 반가운 전시를 아직도 보지 못했다. 문화부 기자로 요즘 가장 아쉬운 것은 두가지다. ![]() ![]() 이번 전시는 앞서 일본에서 열린 뒤 우리나라로 건너왔다고 한다.
일본에서 살가두가 한 인터뷰에 재미있는 부분이 있어 소개한다.
인터뷰어가 살가두에게 물었다. "일본과 아프리카는 언뜻 보기에 전혀 다른 나라처럼
보이는데 공통점이 있습니까?" 살가두의 대답은 어땠을까? 여러분이라면 어떻게 대답
하겠는가?
살가두는 저 사진처럼 엄마와 아이의 이야기로 답했다. "일본의 엄마들은 아이가 아프 면 아파하지 않습니까? 아프리카 엄마도 그렇습니다. 그런 점이 같고, 또 일본 여러분들
은 평화와 좀 더 나은 생활을 추구하는데, 그것도 역시 아프리카도 같습니다." 일본을
한국으로 바꾸면 우리도 똑같은 질문을 하게 될 지 모른다.
기왕 소개하는 김에 살가두의 사진을 좀 더 올린다. ![]() ![]() ![]() ![]() ![]() ![]() |
'포토,갤러리,민속화,누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정서가 깃든 민속화의 아름다움 (0) | 2014.07.20 |
---|---|
아름다운 장면 (0) | 2014.02.15 |
[스크랩] 길바닥에 그린그림 어떠세요 (0) | 2013.12.10 |
인체에 그린 산수화 그림 (0) | 2013.11.08 |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휘호 모음 (0) | 2013.09.2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