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경석의 세상읽기 (第23話)
현상 고착화냐? 변화냐?
- 김정일 사망 이후 한반도의 미래 -
안녕하십니까? 서경석목사입니다.
김정일의 사망 소식을 듣고 저는 먼저 하나님을 찬미했습니다.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이끌어 가시는 방식은 참으로 놀랍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고 종북좌파들의 조문공세를 보며 참 기가 막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고 종북좌파가 측은하게 느껴졌습니다. 이제부터는 3대세습을 찬양하며 20대 김정은을 상전으로 모셔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김정일의 사망은 남북관계에 큰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그동안 이명박 정부는 대북 강경자세를 취했습니다. 저는 이명박 정부의 이러한 입장은 불가피한 것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북한이 천안함을 폭침시키고 연평도를 포격한다고 해서 우리도 똑같은 군사보복을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면 비군사적인 방식으로 더 혹독한 고통을 북에 안겨 주어야 합니다. 그래야 북이 다시 도발하지 못합니다.
그런데 요즈음은 정부도 곤혹스러웠을 것입니다. 한 번도 잘못을 謝過한 적이 없는 북한에게 무한정 謝過를 요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도발의 원흉인 김정일이 사망했으니 한국은 더 이상 謝過에 집착하지 않아도 되게 되었습니다.
또 김정은도 김정일의 사망으로 그가 물려준 역사의 짐을 내려놓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물론 김정은이 개혁개방과 비핵화, 인권개선의 방향으로 갈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가능성을 포기할 수 없습니다. 북한이 과거 어느 때보다 외부세계의 도움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 점을 최대한 활용해서 북한이 바른 길로 가도록 압박해야 합니다. 만일 북한이 정말로 바른 길로 들어선다면 국제사회는 북한에 대규모 경제원조와 체제보장까지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지금은 보다 유연하고 대담한 전략을 고민할 때입니다.
한국은 북한문제에 대해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와 긴밀하게 협의해야 합니다. 그동안 중국은 북한에 개혁개방과 비핵화를 요구해 왔지만 인권문제에 대해서는 침묵했습니다. 6자회담에서도 인권문제는 주된 의제가 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국제사회의 대북압박은 개혁개방과 비핵화에 국한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인권문제야말로 북한체제의 가장 핵심적인 모순입니다. 그래서 한국은 개혁개방, 비핵화와 더불어 북한인권이 개선되어야 획기적인 대북 경제지원을 할 수 있다고 말해야 합니다. 그래서 정치범수용소 해체, 종교자유의 실현, 남북이산가족 만남의 정례화 등을 요구해야 합니다.
주변국들은 김정은으로의 권력이양이 순조롭기를 바라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생각은 다릅니다. 우리는 북한의 변화를 원합니다. 점진적으로라도 인권개선이 되어야 합니다. 김정일 사망이라는 모처럼의 기회가 또 하나의 수령독재체제의 安着으로 끝난다면 얼마나 허망합니까? 우리는 어떻게 해서든 이번 기회에 북한이 변화하여 개방사회의 일원이 되게 해야 합니다. 그래서 지금의 이슈는 권력이양이 순조로운가의 여부도 아니고 3대세습이 옳으냐 그르냐도 아닙니다. 핵심이슈는 현상고착화냐 아니면 변화냐입니다.
지금 한국내 국론이 분열되어 있습니다. 좌파들은 긴장완화, 남북교류, 무조건적 대북지원을 주장합니다. 그런데 이들의 주장의 자세히 들여다 보면 현상고착화입니다. 김정은 체제의 安着입니다. 전혀 북한의 변화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북한주민이 제 아무리 고통을 겪어도 우리는 상관없다 입니다. 애국시민들은 이러한 입장에 대해 단호하게 노(no)라고 말해야 합니다.
우리 국민의 대다수는 김정일 사망소식을 듣고 ‘이번 기회에 북한이 변화했으면 좋겠다’라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이 생각이 바로 국민의 마음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북한의 변화를 촉구하는 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해야 합니다. 북한인권 이슈를 최대한으로 부각시켜야 합니다. 우리정부부터 북한인권 문제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미일중러 4대국까지 한 목소리로 북한인권문제를 제기하도록 국제사회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합니다. 지금 전 세계는 금년에만 네 개의 아랍 독재국가가 무너지는 등 과거 어느 때보다 독재를 반대하는 목소리를 크게 내고 있습니다. 한국은 이러한 국제여론을 최대한 활용해서 중국, 러시아를 압박해야 합니다.
그렇다고 김정은 정권을 붕괴시키자는 것은 아닙니다. 미얀마가 확실하게 변화의 모습을 보이니까 미국이 경제제재를 푸는 절차를 밟는 것처럼 김정은정권이 개혁개방, 비핵화와 더불어 인권개선의 과정을 착실하게 밟는다면 북한체제를 보장해주고 대규모 경제지원도 하자는 것입니다.
한국국민은 과거 27년간 군사독재 하에서 시달렸습니다. 27년은 정말 긴 세월이었습니다. 그러나 북한주민은 67년을 독재 하에서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앞으로 김정은이 죽을 때까지 50년을 더 독재 하에서 살게 할 수는 없지 않습니까? 우리가 북한의 변화를 위해 지금 노력하지 않는다면 도대체 언제 할 것입니까?
그래서 지금은 북한의 변화를 촉구하는 세력이 총력을 다해 북한체제의 고착화, 영속화를 꾀하는 세력을 제압할 때입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좌파의 평화공존 주장은 겉으로는 그럴듯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수령체제의 고착화, 영속화에 불과함을 만천하에 폭로해야 합니다. 그래서 우리의 국론이 인권개선을 포함한 북한의 변화로 모아지도록 해야 합니다.
2011년 12월 29일
서경석 목사
<서경석의 세상읽기> 제10차 산악회에 참석해 주십시오.
- 12월 31일 토 산행예정입니다.-
"아차산으로 합니다."
모이는곳 - 09:30분 아차산생태공원 매점앞!! 12월31일토!! 오시는길~지하철5호선 아차산역2번출구~영화사~동의초교 지나면 바로 매점(13분소요)
식사는 장신대(장로신학대학)학생식당에서 11시20분에 모여 간담회후 할 예정입니다
![](http://image.postman.co.kr/postman2011/user/20111229/gosunjin_15406249c71e47571ed76bf8274d5edc.jpg) 눈내린 크리스마스 이브 "24일" 산행 아주 좋았습니다.
<서경석의 세상읽기>의 후원자가 되어 주십시오.
<서경석의 세상읽기>를 많은 분들에게 보내려면 이메일을 모아야 하고 그분들의 동의를 받아 메일 보내기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이메일 주소 입력, 삭제를 위해 많은 인력이 필요합니다. 또 메일보내기에도 돈이 듭니다. 이 비용을 감당하기 위해 애독자들에게 재정적인 후원을 부탁드립니다. 2012년 12월 대통령선거 때까지 지금부터 14개월 동안 월 1만원이상 후원을 부탁드립니다. 360-01-056880(농협) 예금주: 선진화시민행동 서경석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또 핸드폰 결재도 가능합니다. 이때는 매달 1만원씩 납부할 때는 1599-2760으로(본인 핸드폰만 가능) 전화하시면됩니다. 그리고 선진화시민행동 박찬우사무총장(02-412-1052, 010-3809-4001)에게 전화하여 본인의 이름과 핸드폰번호를 알려주시면 됩니다.
신규,추가 후원명단( 47명 12월)- 입금순서
12월 후원
김승규, 김재학, 최강,강종명,조정현,이규식,황선근,이 양,박승국,정창우,이화숙,임광,김석기,이장호,민승돈,이광진,박정곤,윤재우,송택균,이병필,장훈배,강타점,권영순,김승만.김성주,김형철,홍덕헌,서정순,북한선교,최명환,기우탁,이병희,최병철,정도언,김광일,
010-5304-2632, 010-8265-7958, 010-2702-0933, 010-8869-9531, 010-2583-5880, 010-2210-4333,010-5077-2204,010-9618-0722,010-5407-067,010-3360-6818,011-254-5086
<광고말씀을 드립니다.>
이메일 보내기운동 기금마련을 위해 이메일 하단에 광고를 접수받고 있습니다.
광고를 하실분은 02)412-1052(선진화시민행동)으로 전화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한미 FTA찬성 서명운동에 함께 동참해주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