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지키자 ! 대한민국!

[스크랩] 단식과 배고픔의 상관관계 본문

웰빙과 성, 건강코너

[스크랩] 단식과 배고픔의 상관관계

새벽이슬1 2010. 7. 10. 15:20

"단식을 실행하는데 방해가 되는 가장 큰 장애물은 먹지 않으면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문화적,사회적,정신적 두려움이다."                 
                                                   
--Dr. charles goodrich

  

 

단식과 배고픔

■난 배고픔을 못 참아요 !

"음식공급이 중단되면 배고픔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숨겨진 놀라운 기능이 작동하게 되는데 간에 쌓인
노폐물과 독소가 제거되고,피하지방이 소모되며 근육의 일부도 감소합니다. 그러나 심장,혈액,뇌,신경을 놀랍게도 정상적으로 유지합니다. 단식은 몸을 정화시키고 조직을 개선하며, 독소를 배출하는 놀라운 기능을 합니다."
                                                    --노벨의학상 수상자. Dr. Alexis carrel

■식욕중추가 마비되고 독소가 쌓인 증상 ( 금단증상 - withdrawl symptom)

배고프면 머리가 아프고, 어질어질하다.
끼니를 늦추면 허기가 지고 손발에 힘이 없어진다.
식사량 조절이 잘 안된다.(식욕중추 마비)
무엇이 자꾸 궁금하고 과자, 라면, 매운탕, 고기등 자극적 식품 생각
쉬 피곤하다.
쉬 짜증이 나고 울컥 화가 난다.(곧 후회한다.)
아침이 개운하지 않다.(건강하면 아침이 즐겁다.)
식욕중추는 아주 예민한 신경기관이다.

 

"많은 사람들이 금단 증상을 배고픔으로 잘 못 알고 있습니다."  -----Joel Fuhrman

 

■스위치가 잘 되는(순응이 잘 되는)건강한 몸

몸은 평소 입으로 들어오는 음식을 이용하여 몸을 유지합니다. 만약 음식이 들어오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요?. 몸은 신기하게도 간에 축적된 영양분과 , 몸에 축적된 물질(지방,근육,종기,암)등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보충합니다. 건강한 몸은 이 스위치가 잘 됩니다. 그러나 건강하지 못한 사람은 이 과정이 상당히 고통스럽습니다. 심하게 배가 고프거나 허기증이 난다거나 머리가 아프거나 어질어질 하다면 이 스위치과정에 어려움을 격고 있다고 보아야 합니다. 단식과정은 반드시 이 스위칭 과정이 따르게 됩니다. 이때 심한 공복감과 허기증이 나타납니다. 그러나 몸은 곧 적응하게 되고 독소를 배출하기 시작합니다.

"즉 단식이라는 이변에 의해서 뇌세포가 혈당 이외의 영양소를 이용할 수 있게 변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평소에 많이 먹거나 단 것을 과실하는 사람은 이 순응력이 모자랍니다. "          일본 단식의사- 고오다 마츠오

 

■"단식은 의학적으로 보아도 굶주림이 아니다"--Dr. charles goodrich

■뿌리 깊은 막연한 무서움,공포

"People can't realize that the chief obstacle to fasting is overcoming the culture,social and psychological fears of going without food"
"단식을 실행하는데 방해가 되는 가장 큰 장애물은 먹지 않으면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문화적,사회적,정신적 두려움이다."
                                                                     --Dr. charles goodrich

■참을 수 있을까?.

남자의 경우 4일째부터 소화액이 중단하고 몸의 내부에너지 대사가 바뀌면서 아주 편안하게 됩니다. 소화액은 식욕을 자극하게 됩니다. 4일 단식은 서서히 소화액의 분비를 줄이다가 중단하게 됩니다. 여성의 경우 평균적으로 3일정도로 빠릅니다. 배가 고프다는 현상은 몸의 식욕중추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고 보면 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은 '진정한 배고픔'과 '습관성 배고픔'을 혼동하고 있습니다. 가만히 생각해 보죠.

■담배 습관성과 식사 습관성은 어느 정도 닮았다.

"무슨 말이냐 구요?" 고기를 늘상 먹던 사람은 고기를 먹지 않으면 고기생각이 나고 제한을 당하면 짜증이 난다고 합니다. 튀김을 잘 먹는 사람은 튀김을 매우 먹고 싶어합니다. 담배나 커피도 똑 같다는 것이죠. 몸의 신경을 자극하는 자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죠. 그 물질의 자극이 충족이 되지 않으면 계속해서 요구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자극적인 음식을 먹던 사람은 자극적인 것을 찾게 됩니다. -예 매운탕,보신탕,장어,아구침,..... 단식은 이러한 음식 습관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신경 정화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진정한 해방감

"사람은 떡으로만 살 것이 아니요..." 성경-예수.
몸은 신비한 가능성의 집합체입니다. 「과학은 몸을 모른다」고 해야 합니다. 조금 아는 것을 가지고 약을 투여하고 수술을 합니다. 조금 아는 것은 모르는 것입니다. 에디슨은 21세기는 약과 수술이 아닌 방법으로 치료를 하고 질병을 고칠 것이라 말했습니다. 우리가 어떻게 몸을 정화시키고 몸의 생명력이 어떻게 작동되는 것인가를 단식을 통하여 체험할 수 있습니다. '배고픔의 두려움'이란 정말 아무 것도 아닌 습관적이고 문화적인 것이다' 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인간의 몸은 안전하게 단식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Dr. Fuhrman

출처 : 인체해독프로그램[디톡스]-만병자연치유[다이어트 1000%확신]
글쓴이 : 디톡스 원글보기
메모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