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키자 ! 대한민국!
지갑에 담긴 사랑이야기 본문
지갑에 담긴 사랑이야기
아내와 나는 20년 동안 가게를 하면서 참 많은 손님을 만났다.
그 가운데 특히 아름다운 기억으로 자리 잡은 손님이 한 분 있다.
얼마 전 저녁 무렵에 사십 대로 보이는 남자 손님이 가게로 들어왔다.
아내는 얼른 "어서 오세요" 하고 반갑게 맞았다.
그런데 손님은 남성용 물건 대신 여자 지갑이 진열된 곳을 두리번거렸다.
그러더니 따로 보아 둔 지갑이 있는지 아내에게 지갑의 모양을 자세하게 설명했다.
다행히 손님이 원하던 것과 비슷한 물건이 있어 손님은 그것을 사기로 결정했다.
지갑 값을 치른 다음 손님은 만 원 짜리를 한참 세더니
방금 구입한 지갑 안에 그 돈을 넣었다.
그리고는 어디론가 전화를 걸었다. 부인에게 전화를 하는 모양이었다.
"내가 지갑을 하나 샀으니 지금 시장 입구로 나와요."
아내는 "지갑만 사 드려도 좋아할 텐데 돈까지 그렇게 많이 넣어 주세요?
부인 생일이신가 봐요" 하면서 부러운 표정으로 바라보았다.
손님은 "아니에요. 우리 집사람이 지갑을 잃어버리고
집에 와서 너무 우울해하기에 위로해 주려고요.
잃어버린 것과 같은 지갑에 잃어 버린 만큼의 돈을 넣었으니
그 일 깨끗이 잊고 힘내라고요" 하면 빙긋 웃었다.
잠시 뒤 손님은 곱게 포장된 지갑을 양복 안주머니에 넣고는
사랑하는 아내를 만나기 위해 가게 문을 나섰다.
아내는 그 손님이 나간 문 쪽을 넋을 잃고 바라보았다.
나 또한 손님의 뒷모습을 보며 작은 감동이 밀려와 가슴이 두근거렸다.
나라면 어땠을까?
지갑을 사 주기는 커녕 지갑 하나 제대로 간수 못해 빠뜨리고 다닌다며
가뜩이나 심란한 마음을 더욱 아프게 했겠지….
그 뒤 나는 누군가 실수를 하면 그때 그 손님을 떠올린다.
상대를 먼저 헤아리는 마음, 그것이 사랑의 시작이니까.
- 좋은 생각 중에서 -
모리 슈워츠 교수의 마지막 메세지
1. 살아가는 법을 배우십시오.
그러면 죽는 법을 알게 됩니다. 죽는 법을 배우십시오.
그러면 살아가는 법을 알게 됩니다.
훌륭하게 살아가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언제라도 죽을 준비를 하는 것입니다.
2. 자신의 몸이나 병에 지나치게 집착하지 마십시오.
몸은 우리의 일부일 뿐, 결코 전체가 아닙니다.
우리가 이렇게 위대한 이유는 몸이 있기 때문이 아니라 감정과 통찰력,
직관을 지닌 존재들이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감정과 통찰력과 직관이 남아있다면 우리는 아직 우리의 자아를 잃어버린 것이
아닙니다.
3. 화가 나면 화풀이를 하십시오.
항상 좋은 사람인 척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저 좋은 사람인 때가 더 많은 사람이면 충분합니다.
극도로 화가 났을 때는 그 감정을 밖으로 표현하십시오.
좌절하거나 화가 났을 때, 감정을 표출하는 것 자체를 두려워해서는 안됩니다.
4.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
자신을 동정할 줄 아는 사람, 자신에게 친절한 사람이 되십시오.
자신을 가장 가까운 친구로 삼으십시오. 자신을 진실로 아는 자는 진실로
자신을 귀하게 여기며 자신에 대한 귀한 존경심을 통하여 타인들을 자기처럼
귀하게 여기는 방법을 배웁니다.
5. 타인의 도움을 받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닙다.
우리가 사랑하고, 우리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기꺼이 우리를 도와 주도록 해야
합니다. 다만, 그들이 들어 줄 수 없는 요구를 하지 않도록 조심하십시오.
6. 너무나 짧은 우리의 삶에서 행복은 소중한 것입니다.
가능한 한 즐거움을 많이 느낄 수 있도록 마음을 열어 놓으십시오.
전혀 예상치 못한 때에, 뜻밖의 곳에서 행복은 우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7. 슬퍼하고, 슬퍼하고, 또 슬퍼하십시오.
눈물을 흘리며 슬픔을 드러내는 것은 삶의 소중한 휴식이 되며,
우리에게 새로운 힘을 불어넣어 줍니다.
슬픔을 드러내는 것은 카타르시스와 위안을 안겨 주며
침착함을 유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슬픔의 끝이 슬픔일 수는 없습니다. 잃어버린 것을 슬퍼하며
울고 난 후에는 아직 남아 있는 것에 감사할 줄도 알아야 합니다.
8. 우리가 정말로 해서는 안 될 일은
자기 자신을 쓸모없는 존재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자신을 쓸모없는 존재라고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그런 생각의 끝에는 우울증이 기다리고 있을 뿐입니다.
쓸모있는 존재가 될 수 있는지 자기 나름의 방법을 찾으십시오.
9.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을 용서하는 힘을 기르십시오.
용서는 우리의 삶을 이전의 삶과는 아주 다른 새로운 삶으로 이끌어 줍니다.
용서는 마음을 누그러뜨리고, 억울한 생각을 없애주며, 죄책감을 녹여 줍니다.
10. 파도는 해안에 부딪쳐 사라지지만, 바다는 사라지지 않습니다.
바다의 일부였던 그 물결은 결코 사라지는 것이 아니며
인류의 삶이 계속되는 한 우리는 파도가 아니라 바다의 일부입니다.
~~~~~~~~~~~~~~~~~~~~~~~~~~~~~~~~~~~~~~~~
모리 슈워츠(Morrie Schwartz)교수는 미국 매사추세츠 월트햄에 있는
브랜다이스 대학에서 35년 동안 사회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1994년 77세 나이에 루 게릭병에 걸려 1995년 11월 4일 세상을 떠났다.
그는 자신의 병을 받아 들이고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동안 가능한 한
풍요로운 삶을 살기에 노력했다.
목숨이 끝나는 마지막 순간까지 배움에 대한 열정을 버리지 않았으며,
스승으로서의 직분 또한 버리지 않았다.
자신의 죽음을 드러내어 그 과정에서 겪는 온갖 슬픔과 고통을 모든 사람
들을 위한 대화의 소재로 기꺼이 내 놓았으며,말을 더듬고 손발은 움직이지
못하는 처지이면서도 자신의 마지막 모습까지 모든 살아 있는 사람들에게
개인주의와 경쟁만이 최고의 가치로 인정되는 이 시대에 공동체를 기반
으로 한 사랑과 연대 의식, 용기와 희망을 전하고자 했던 위대한 스승이었다.
그는 삶을 사랑하였고, 죽음 또한 기꺼이 받아들였으며, 그의 삶과 죽음은
사람됨의 위엄과 기품은 우리들 마음속에 깊이 새겨 놓았다.
'시·감동·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속의 감동글 (0) | 2010.07.02 |
---|---|
'피오렐로 라과디아' 판사님 이야기 (0) | 2010.06.07 |
[스크랩] 그대를 위한 겨울의기도 (0) | 2009.12.05 |
늙은 인디언 추장의 지혜 (0) | 2009.11.18 |
이런일을 아시나요.. (0) | 2009.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