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가 왔다. 우리는 소득이 늘어나면 행복도 비례해서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한국인의 행복감은 1만달러 시대보다 떨어졌다. 환율이 떨어져 소득이 늘어난 것처럼 보이는 ‘환율 착시’현상으로 기대 수준만 높아졌다. 비정규직이 늘어나는 등 고용 불안으로 인해 무한 경쟁에 빠지게 된 직장인들은 삶의 여유를 찾기 힘들어졌다. 집값이 오르고 교육비가 늘어나면서 중산층의 삶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은 급증했다. “나는 행복하다”고 얘기할 수 있는 중산층의 수도 줄어들고 있다. 과연 우리나라는 소득이 늘어난 만큼 행복이 늘어나는 나라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수 있을까?
직장생활 10년차의 오모(37)씨는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에 표준적인 연봉을 벌고 있다. 혼자 벌어 4인 가족을 먹여살리는 그의 연봉은 7500만원이다. 달러로 따지면 약 8만달러가 된다. 1인당 국민소득이 2만달러라는 것은 4인 가족으로 따지면 8만달러의 소득이다. 하지만 그는 “직장생활을 시작했을 때보다 연봉이 4배가 올랐지만 전혀 행복하지 않다”며 “그때는 한 달에 몇 십만원씩 저축이라도 했는데…”라며 말꼬리를 흐렸다.
오씨는 1년 전 아내와 8살, 5살 된 두 아이를 호주로 조기 유학을 보냈다. 오씨가 한 달에 자녀 교육비와 생활비로 송금하는 돈은 400여만원. 여기에 주택담보대출 이자가 월 100만원씩 꼬박꼬박 나간다. 자기 생활비 조금 쓰다 보면 손에 남는 돈은 없다. 처음엔 원래 살던 집은 세를 주고 월세로 원룸에 살려고 했지만 한푼이라도 아끼기 위해 부모님 집에 얹혀 살고 있다.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에 아이들을 외국에서 가르칠 수 있을 정도로 선택의 폭은 넓어졌다. 하지만 오씨와 같은 사람들은 정작 그와 같은 선택을 할 수밖에 없게 만든 사회에 대해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가 왔지만 “행복하지 않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은 지난 7월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이 2만70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추정했다. 경제성장률이 4.5%를 기록하고 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925원을 유지한다는 가정 아래서이다. 정확한 통계는 내년 3월쯤 한국은행에서 발표하지만 한국은행과 각종 민간 연구소들은 올해 국민소득이 2만달러를 넘어서는 것을 기정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경제성장률은 5%에 육박할 것으로 보이고 원·달러 환율은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작년 1인당 국민소득은 1만8372달러였다.
한국이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를 달성한 것은 1995년 1만달러 대를 돌파한 이후 12년 만의 일이다. 과거에 2만달러를 달성한 나라들은 평균 10.1년이 걸렸다. 최단 기간에 1만달러에서 2만달러를 달성한 나라는 이탈리아(5년), 싱가포르(5년)이고 최장 기간은 호주(16년)다. 한국은 1997~1998년 외환위기를 거친 것을 고려하면 기간만 따지면 그다지 나쁘지 않은 성적표다. 하지만 ‘국민소득 2만달러 달성으로 한국인들이 행복해졌나’를 따지기 시작하면 얘기는 달라진다. 작년 7월 영국의 민간연구소인 신경제재단(NEF)은 세계인의 행복을 비교하기 위해 ‘행복지구지수(Happy Planet Index)’를 만들어 발표했다. 행복지구지수는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객관적 기대 수명치 등을 반영해서 산출한다. 그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행복지구지수는 41.11점이었고, 순위는 세계 178개국 중 102위였다. 미국이 150위, 일본이 95위인 것을 보고 지수가 국민소득과는 큰 연관이 없다는 시각도 있으나 한국의 행복 순위가 높지 않은 것만은 분명하다. 비슷한 시기에 영국 레스터대학의 애드리안 화이트 교수가 발표한 세계행복지수 순위를 봐도 한국은 세계 178개국 중 102위였다. 이 순위에서 미국은 23위, 일본은 90위였다.
한국인은 주관적인 태도를 묻는 조사에서 “행복하지 않다”는 대답이 많을 뿐더러 늘어나고 있는 경향이다.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는 미국 미시간대학의 로널드 잉글하트 교수가 주도하는 ‘세계 가치관 조사(World Values Survey)’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다. 이 결과는 앞서 언급한 신경제재단의 행복지구지수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 부분에 그대로 사용되기도 했다.
세계 가치관 조사의 한국 내 조사를 담당하고 있는 화정평화재단·21세기평화연구소에 따르면 한국인은 국민소득 1만달러를 갓 넘겼던 10년 전에 비해 현재 덜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5~2007년에 걸친 조사에서 한국인의 행복지수는 65.93점으로 세계 평균(69점)에도 못 미쳤다. 순위는 37개국 중 28위였다. 같은 조사를 1995~1998년 했을 때에는 66.04점으로 24개국 중 15위를 기록했다. 절대 점수도 떨어지고 순위도 하락했다. 세계 가치관 조사의 행복지수는 ‘매우 행복’ ‘약간 행복’ ‘약간 불행’ ‘매우 불행’ 등 4개 항목의 응답에 대해 가중치를 두고 평균을 내서 만든다.
객관적 지표를 가지고 행복지수를 낸 경우에도 행복지수가 1만달러 시대에 비해 떨어졌다는 결과가 있다. 엄호성 한나라당 의원실을 통해 받은 도이치뱅크연구소의 ‘국가별 행복지표’ 보고서에 따르면 선진국 클럽인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22개 나라 중에서 한국만이 유일하게 지난 10년 사이에 행복지수가 떨어졌다. 도이치뱅크연구소는 국민 간의 신뢰도, 부패수준, 출산율, 경제자유도 등의 지표를 종합해서 행복지표를 계산했다. 한국은 1인당 소득은 늘어났지만 출산율이 최하위로 떨어지는 등 행복과 관련한 지표는 떨어졌다.
지키자 ! 대한민국!
당신은 행복한가? 본문
- [2만달러 시대 당신은 행복하십니까] “1만달러 때보다 행복하지 않다”
- 한국인 행복지수 178개국 중 102위… 10년 전보다 낮아져
환율 하락에 따른 ‘거품’일 뿐, 실제 소득은 기대 못 따라가
저성장시대 고용불안·과열경쟁도 행복지표 떨어뜨려
'유익한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는 중국을 몰라도 너무 모른다 (0) | 2007.11.29 |
---|---|
화가 났을때는 이렇게 하라! (0) | 2007.11.26 |
[스크랩] 인터넷 공짜 사이트 (0) | 2007.07.07 |
볼만한 사이트 다 모였네.. (0) | 2007.06.19 |
[스크랩] 피부가 좋아하는 음식 (0) | 2007.05.25 |
Comments